"적과ㆍ고품질…비상품 막아야 '윈윈'"
"적과ㆍ고품질…비상품 막아야 '윈윈'"
  • 임성준
  • 승인 2009.0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열띤 토론'… 재도입 공감
"맛으로 승부해야"…'무임승차' 의식 전환 절실
"물량을 줄이고 맛을 좋게 하고, 강제로 색을 입혀 소비자를 기만하는 비상품 감귤 출하를 막아야 생산자와 소비자 유통인이 모두 윈윈합니다"

2일 감귤유통조절추진위원회 주관으로 제주도농업인회관에서 열린 감귤유통조절명령제 공청회장은 공청회 내내 긴장감과 절실함이 넘쳤다.

해거리 현상으로 설마했지만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이 67만여t으로 발표돼 과잉생산에다 장마가 길어 맛도 떨어질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비상품 유통 차단을 위해 유통명령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공감하면서도 '무임승차' 의식을 버리고 농가 스스로 열매를 솎아내 물량을 줄이고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려는 의식 전환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지정토론에서 생산자대표로 나선 양민웅씨는 "맛이 없으면 사 먹지를 않는다"며 고품질 생산을 강조하고 "농가 스스로 열매솎기를 통해 물량을 줄이고 비상품을 차단하기 위해 유통명령제 도입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대표로 참석한 강광파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상임이사는 "소비자들이 가격이 오를 줄 알면서도 유통명령제 도입에 공감하는 것은 안전한 먹거리를 원하기 때문이다"며 "소비자를 기만하는 강제착색, 속박이 행위 등 비상품 유통을 원천 차단한다는 조건이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이사는 "소비자와의 약속을 철저히 지켜야 소비자들은 값이 오르더라도 소비를 하게 된다"며 "비상품 유통 차단만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윈윈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도매 유통인대표로 나선 천호진 농협중앙회가락공판장 경매차장은 "여전히 소비지에서 상인들이 비상품을 상품으로 둔갑시키는 행위가 버젓이 이뤄지고 있다"며 "산지(농가)에서부터 비상품이 출하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강제 착색하고 규격에 미달되는 비상품 감귤은 공판장에서 수취를 거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10월말 부터 출하되는 딸기가 경쟁 과일로 떠오르고 있다"며 "감귤처럼 20~30대 젊은층이 선호하는 과일이어서 무엇보다 당도를 올려 맛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며 고품질 생산을 주문했다.

산지유통인 대표로 나선 차균수 사단법인 전국농산물산지유통인연합회서귀포지부장은 "양을 줄인다고 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없다"고 전제하고 "농가들이 수긍할 수 있는 가공용 수매가격을 제시해야 한다"며 가공용 감귤처리 대책을 꼬집었다.

그는 "비상품 유통행위로 적발되는 건수가 늘고 있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는 규정 때문"이라며 "유통명령제 도입 없이도 도 조례로도 유통 조절이 가능하다"며 단속의 부작용을 주장했다.

감귤유통조절추진위원회는 유통명령 요청서(안)에 관한 전문가 분석보고서 작성을 의뢰하고 오는 11일 2차 회의에서 요청서(안)를 심의·확정후 15일까지 제주도를 거쳐 농식품부로 유통명령 요청서를 최종 제출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