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환지사 주민소환 투표’에 나타난 ‘투표율 11%’의 민의는 무엇일까.
아무도 섣불리 해석할 수 없는 복잡하고 미묘한 부분이다.
소환운동을 벌였던 소환운동본부 측도, 소환대상자였던 김지사도 유리하게 해석할 수 없는 변수와 의미가 포함돼 있다 하겠다.
뭉뚱그려 말하자면 ‘투표율 11%’는 소환투표에 대한 도민적 무관심이 표출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같은 냉담한 반응을 갖고 왈가왈부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이다.
그런데 주민소환투표에 대한 도민 적 냉소와 냉담분위기와는 달리 이로 인해 갈등의 골이 더 깊어졌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투표율 11%’도 민의다. 정상적인 민주사회라면 이 같은 민의도 수용해야 할 것이다.
결과가 자신의 욕구에 미치지 못했다고 투표결과를 승복하지 않고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은 민주적 가치를 외면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런 뜻에서 소환운동본부 측의 ‘주민소환투표결과 불인정’은 절차적 민주주의 원칙에 반하는 것이다.
김지사도 그렇다. 투표에 불참했던 유권자의 89%가 김지사 소환에 반대하고 김지사를 지지한 것은 아니다. 이런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어떠한 이유를 말하더라도 이번 주민소환의 원인제공자는 김지사 자신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표율 11%’의 민의를 왜곡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오히려 원인제공에 대한 깊고 심각한 반성의 바탕위에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반성을 전제로 반대자들을 끌어안고 갈등과 분열의 골을 메워야 할 일이다.
김지사가 밝혔듯이 이번 주민소환투표는 승자도 패자도 없이 모두에게 상처만 남겼다. 이 상처를 치유하는 일이 급선무다. 여기에 김지사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
소환운동본부 측도 마찬가지다. 투표결과에 승복하고 인정하여 내미는 손을 잡아야 할 것이다. 도민화합과 화해를 원한다면 그래야 한다.
이와 함께 갈등을 메우고 분열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소환운동 과정의 중립지대에 섰던 편벽되지 않는 인사들이나 사회원로들로 구성된 ‘도민 갈등조정위원회‘나 ’‘도민 화해 추진 협의회’같은 기구도 생각해 볼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