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내외,YS, 11개 외국 조문사절단 참석
화해ㆍ통합메시지…전국 조기게양…'굿바이 DJ'
시민들, 연도나와 운구행렬 지켜봐…서울현충원 안장
화해ㆍ통합메시지…전국 조기게양…'굿바이 DJ'
시민들, 연도나와 운구행렬 지켜봐…서울현충원 안장

영결식장에서 동교동 사저와 서울시청 앞을 거쳐 동작동 국립묘지에 이르는 연도에는 수십만명의 추도 인파가 운집해 고인의 마지막 길을 지켜봤다.
김 전 대통령 장례는 서거 엿새 만인 23일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국장(國葬)으로 치러졌다.
영결식은 이날 오후 2시 국회 앞마당에서 부인 이희호 여사 등 유가족과 이명박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 김영삼 전 대통령, 헌법기관장, 주한 외교사절, 각계 대표와 시민 등 역대 최대 규모인 3만명이 참석한 가운데 1시간30분동안 거행됐다.

한 총리는 조사에서 "대통령님은 평생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와 민족화해를 실현하기 위해 헌신해 오셨다"면서 "이러한 발자취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로 영원히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는 "특히 정치적 입장이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 반목해온 해묵은 앙금을 모두 털어내는 것이 우리 국민 모두의 참뜻일 것"이라며 "이제야말로 지역과 계층, 이념과 세대의 차이를 떠나 온 국민이 한 마음으로 새로운 통합의 시대를 열어가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영숙 전 의원은 추도사에서 "행동하는 양심이 되라는 마지막 말씀을 새기겠다"며 "우리가 깨어 있으면 당신이 곁에 계실 것을 믿는다"고 말했다.
영결식은 이어 천주교, 불교, 개신교, 원불교 순으로 종교의식이 진행된 뒤 생전영상 상영과 헌화.분향, 추모공연에 이어 3군 의장대의 조총 발사로 마무리됐다.
영결식을 마친 후 운구 행렬은 여의도 민주당사와 동교동 사저에 들른 뒤 광화문 세종로 네거리와 서울광장, 서울역을 거쳐 동작대교로 한강을 넘어 오후 5시께 서울현충원에 도착했다.
운구행렬이 통과하는 길에는 주말에도 수많은 시민들이 나와 고인의 생전 업적을 되새기며 명복을 빌었다.
김 전 대통령의 시신은 현충원에서 264㎡(80여평) 규모로 조성된 묘역에서 종교의식과 헌화.분향, 하관, 허토의 순서를 거쳐 안장됐다.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에 이어 30년 만에 국장이 거행된 이날 전국 가정과 공공기관에는 조기가 게양됐다.
국회-김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