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야심차게 계획했던 ‘바이오 연료 생산 사업’이 흐지부지 차질을 빚고 있다.
도는 2012년까지 감귤껍질과 유채를 이용한 바이오 연료 생산 공장을 건설하고 여기서 도내 휘발유 사용량의 10%를 바이오 에탄올로 대체 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비상품 감귤과 산지폐기 감귤, 가공용 감귤껍질은 이용, 내년에 바이오 에탄올 6만톤을 제조하고 2012년까지 휘발유 사용량의 10%를 이로 대체한다는 계획이었다.
또 유채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제조 사업도 계약재배를 통해 대량생산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지난 6월에는 500ha의 유채를 계약재배하고 280톤을 사들이기고 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바이오 연료사업은 경제성이 약하고 면세 등 정부의 지원 난색으로 제자리 걸음이다.
감귤 껍질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인 경우, 휘발유와의 가격경쟁에서 불리하다는 용역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이 같은 불리한 가격경쟁력도 정부에서 세금만 면제해준다면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나 정부에서는 제주에만 면세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결국 이 때문에 이들 사업에 대한 사업자 선정도 하지 못한 채 몇 년 째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 특별자치도가 자랑해 마지않았던 이른바 ‘녹색성장도시’나 ‘카본 후리 시티(carbon free city)’는 그저 홍보용 말로만 그치고 있는 꼴이다.
이 같은 바이오 연료사업의 난맥은 철저한 연구나 검토도 없이 녹색산업에 대한 유행성 정책을 답습한데서 비롯됐다는 지적도 있다.
경제나 산업정책에 대한 정책당국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