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s place in the G2 era
South Korea’s place in the G2 era
  • 제주타임스
  • 승인 2009.0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he first U.S.-China Strategic and Economic Dialogue (S&ED), which concluded in Washington two days ago, demonstrated to the world the two countries’ determination to lead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21st century. One could very well call it the beginning of the “G2 Era.”

The bilateral ministerial-level talks provided a setting for broad-ranging discussions on pressing diplomatic and economic issues, as well as regional and global issues. In the area of the economy in particular, the U.S. made plans to raise its savings rate and reduce its deficit with stronger regulations and financial oversight, while China made plans to increase domestic demand and expand its social safety net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The two countries took each other’s interests into account as they fine-tuned macro-level policy to set a framework for the global economy. In addition, they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issues related to energy, the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which demonstrates that they intend to lead international discussion related to these areas.


Attention is also being drawn to the two countries’ agreement to cooperate in a response to terrorism and the North Korean and Iranian nuclear programs. This could signal increasingly closer discussions taking between the U.S. and China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uch cooperation would increase the efficacy of efforts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however, concerns remain that any resolution to nuclear issues involving several nations will be molded into a form primarily suited to these two countries’ interests. As far as the Korean Peninsula is concerned, South Korea should not simply stand by and watch the U.S. and China develop stronger rel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will shape the 21st century, which makes it as important as any bilateral relationship in the world,”  said U.S. President Barack Obama in his opening speech at the S&ED. China, for its part, appeared to share these sentiments. It sent a large delegation of some 150 people to the talk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meeting emphasized that the two nations were “all in the same boat.” It is encouraging that the U.S. and China are avoiding hegemonic competition and cooperating in such a way that may result in something positive not only for themselves, but for the world as a whole.



From South Korea’s standpoint, however, stronger U.S.-China relations may have some negative ramifications, namely the full force revival of superpower politics in Northeast Asia. While it has been put on the back burner for now, strategic dialogue taking place between the U.S., China and Japan also represents a similar move.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South Korea has had the bitter historical experience of becoming the sacrificial lamb in superpower politics. Although we may agree with or welcome some of the efforts being made by superpow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t behooves our government to make active and balanced efforts to maintain South Korea’s interests and values.

다가온 ‘G2 시대’에 주체적 대응을

미국과 중국은 워싱턴에서 그제 끝난 제1차 전략경제대화를 통해 21세기 국제질서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지구촌에 과시했다. ‘G2 시대’의 시작이라고 할 만하다.

두 나라의 외교·경제 담당 부총리·장관급 인사가 이끈 이번 모임에서는 외교·경제 현안은 물론이고 지역 및 전지구적 문제 등도 폭넓게 논의했다. 특히 경제 분야에서 미국은 금융체제 규제·감독 강화와 함께 저축률을 높이고 재정적자를 줄이며, 중국은 내수를 확대하고 건강보험 등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기로 했다. 두 나라가 거시정책을 조율해 세계경제의 틀을 잡고 서로 이익을 꾀하는 단계에 접어든 것이다. 두 나라가 에너지와 환경, 기후변화 문제를 풀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도 이들 사안과 관련한 국제논의를 주도하겠다는 뜻을 보여준다.

두 나라가 북한과 이란의 핵, 테러리즘 대처 등에서 협력하기로 한 것도 주목된다. 북한 핵 문제에서 두 나라의 협의가 더 긴밀해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두 나라의 이런 협력은 핵 문제 해결 노력의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반면, 여러 나라가 관련된 핵 문제를 두 나라의 이해관계에 맞춰 재단하게 만들 우려도 없지 않다. 우리나라로선 한반도 문제에 관한 한 미-중 관계 강화를 지켜보기만 해서는 안 될 까닭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번 모임 개막연설에서 “미-중 관계는 21세기를 틀 지을 것”이라며, 그래서 “세계에서 어떤 양자 관계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중국 또한 대미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보기에 이번 모임에 150명에 이르는 대규모 대표단을 보냈다. 모임 참석자들도 두 나라가 동주공제(같은 배를 타고 물을 건넌다)의 처지에 있음을 강조했다. 미국과 중국이 지나친 패권국 경쟁을 피하고 이렇게 협력하는 것은 두 나라뿐만 아니라 지구촌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면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처지에서 볼 때 미-중 관계 강화는 동북아에서 ‘강대국 정치’가 본격적으로 되살아난다는 부정적 측면이 있다. 일단 무산됐으나 미-중-일 전략대화가 논의되는 것도 비슷한 움직임이다. 우리나라는 19세기 후반 이후 강대국 정치의 희생물이 된 쓰라린 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강국들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받아들이되, 우리 이익과 가치를 관철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균형 잡힌 노력이 더 절실해지고 있다.

[한겨레기사 7/2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