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가 전국 지자체 가운데 온실가스를 가장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지자체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배출특성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5년 도내 배출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은 323만8000tCO₂(이산화탄소톤, 전체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값)으로 전국 대비 0.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문별로는 발전 130만2000tCO₂, 수송 96만tCO₂, 가정상업 48만5000tCO₂, 산업 38만3000tCO₂, 공공기타 4만3000tCO₂ 등 에너지 부문이 317만2000tCO₂, 산업공정은 6만6000tCO₂으로 집계됐다.
전국 온실가스 배출량은 5억5753만3000tCO₂으로 충남이 15.7%(8734만9000tCO₂)로 가장 많았으며 전남 12.7%(7095만6000tCO₂), 경기 12.0%(6695만4000tCO₂), 경남 11.3%(6284만7000tCO₂) 순이었다.
이들 지역은 화력발전소와 철강,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 집중돼 있어 발전 및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제주(0.6%)를 비롯해 광주(0.8%), 대전(0.9%), 대구(1.7%), 전북(1.9%) 지역은 산업시설이 적어 온실가스 배출량도 적었다.
소비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제주는 332만2000tCO₂(0.6%)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부문별로는 가정상업 129만6000tCO₂, 수송 96만tCO₂, 산업 82만7000tCO₂, 공공기타 17만3000tCO₂등이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6.5%(9198만tCO₂)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전남 13.2%(7343만6000tCO₂), 경북 11.3%(6314만9000tCO₂), 울산 9.6%(5349만2000tCO₂), 서울 8.9%(4980만7000tCO₂)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