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강래 대표는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날 오전 ‘제20차 이명박 대통령의 라디오 연설’ 내용에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현실’을 지적하며 “한나라 안상수 원내대표와 당시 협상의 끈을 놓지 않았는데 (안상수 원내대표가)돌연 태도가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또 “이것은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였으며 대통령의 지시가 없었다면 직권상정을 통한 강행처리도 없었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은 장외투쟁을 위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7일 오후 의원총회에서 ‘언론악법 원천무효 투쟁 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위원장은 정세균 대표가 맡을 예정이다.
대책위는 다른 야3당과 시민단체와 합세하여 100일 동안 전국을 돌며 시국대회를 열고 천만인 서명운동도 벌이는 동시에 미디어법 무효를 위한 법적 대응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신문법 처리와 관련해 투표기록 34건이 발견됐다”며 국회사무처에서 받은 전자투표 관련 기록을 공개했다.
민주당 법률단장인 김종률 의원은 “동영사과 회의록 등 증거가 왜곡될 수 있다며 헌법재판소 직권으로 증거보전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또 국회사무처 직원들이 공무원 중립의무를 위반해 미디어법 처리가 적법하다는 입장을 밝힌 관련자들에 대한 형사고발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나리당에서는 미디어법 강행 처리에 따른 역풍을 차단을 위해 본격적인 민생 행보를 선언하고 장외투쟁에 나선 야당과 차별성을 강조했다.
박희태 대표는 27일 오전에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은 염천에 아스팔드에서 선동행각을 벌이고 있지만, 우리는 민생의 바다 속으로 몸을 던져보자”며 장외투쟁에 나선 야당의 행보는 실질적 민생 살리기와 거리가 있음으로 부각시켰다.
이어 박 대표는 “지역경제 살리기 행보를 강화하고 민심의 소리를 듣기 위해 전국을 도는 정책 순방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은 이에 따라 당 소속 국회예결위원들을 4개 조로 나눠 전국을 돌며 지역 민원을 직접 듣고, 'MB서민정책추진본부'로 본격적으로 가동해 9월 정기국회 이전까지 지역 경제 현장 점검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이 제기하는 미디어법 재투표 논란에 대해서는 황우여 의원을 단장으로 한 법률팀을 꾸려 헌법재판소 답변서를 작성하는 등 법적 조치를 해나가기로 했다.
국회-김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