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법을 강행처리한 한나라당과 이를 막지 못한 민주당 양당 모두 당분간 상당한 후유증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일단 냉각기를 가지면서 여론의 흐름을 살피겠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당장 대규모 장외집회를 준비하는 등 미디어법 국회는 또 다른 정국을 만들어 내고 있다.
23일 민주당은 의원총회에서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강행처리를 원천 무효로 규정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민주당은 우선 주말인 25일부터 야4당, 시민사회단체 등과 함께 ‘방송악법 날치기’ 시국대회에 참여하기로 했다.
또 김형오 국회의장과 김 의장으로 부터 사회권을 위임받았던 이윤성 국회부의장에 대한 사퇴운동도 벌일 계획이다.
지난 22일 미디어법 본회의 표결처리 직후에 갖은 기자회견에서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정세균 대표와 이강래 원내대표는 사퇴서를 조만간 제출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한나라당은 당분간 민주당과 냉각기를 갖고 여론의 흐름을 지켜보자며, 여론이 불리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고 정국을 조기 수습하기 위한 수단으로 민생행보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박희태 대표는 23일 최고위회의에서 “이제는 앞뒤 돌아볼 것 없이 오로지 민생 문제해결에 모든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이러한 맥락으로 해석된다.
박 대표는 이어 “미디어법이 일방 처리됐지만, 법안에 야당의 주장을 폭넓게 수용한 만큼, 빨리 국회로 돌아오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여권은 미디어법 본회의 직권상정 처리를 계획단계에서 여론의 후폭풍을 대비해 ‘민생행보’ 강화와 함께 청와대와 내각의 조기 개편 등 다양한 방안을 이미 구상해 왔으나 야당이 장외투쟁에서 반정부, 반한나라당으로 여론을 조성할 것이 확실해 지난 ‘광우병파동’ 시위가 재현될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국회-김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