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06년 5.31 도의원 선거를 치른 지 벌써 3년 1개월여가 지났다.
차기 선거가 앞으로 11개월 밖에 남아있지 않다는 얘기다.
우리는 이쯤에서 제주도의회 의원들 각자가 선거 당시 약속한 공약들을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지 되돌아 볼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만약 미처 이행치 못한 선거공약이 있다면 몇 달 남지 않은 임기 중 꼭 그 약속들을 지켜 주기 바란다.
특히 3년 전 5.31 지방선거 운동 기간을 통해 “당선 되면 유급수당을 몽땅 사회에 환원 시키겠다”고 유권자들에게 굳게 공약(公約)한 도의원(교육의원)들은 그것이 공약(空約)이 되지 않도록 철저히 준수해야 될 줄 안다.
선거에 있어서의 공약은 매우 중요하다.
결정적으로 당락(當落)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의원들이 공약을 실천하는 데 모든 것을 걸어야 할 이유다.
또한 도리(道理)요 양심이기도 하다.
2
지난 5.31 도의원 선거 때는 참으로 이색적(異色的)인 선거공약들이 많았다.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유급수당 전액 사회 환원’이었다.
어떤 후보는 “유급수당 모두를 학교급식에 쓰겠다”고 단단히 약속을 했다.
또 다른 후보들은 “장애인을 위해 수당 전액을 내 놓겠다”고도 했고, “조손가정(祖孫家庭)을 위해 쓰겠다”고도 했다.
“노인 복지 등을 위해 사용 하겠다“는 후보도 있었다.
이러한 후보들이 무려 10명이나 되어 당시 유권자들은 도의회의 미래를 밝게 하는 징조라며 무척 좋아 했었던 게 사실이었다.
그 때 이 공약들은 유권자들에게 큰 감동을 불러 일으켰다.
뽑아만 준다면 유급수당에 연연하지 않고 선량(選良) 답게 도의원(교육의원)직을 무료 봉사하겠다는 결연한 약속에 유권자들은 감명을 받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감명을 받은 것은 꼭 그것 때문만이 아니었다.
부자 소리를 듣는 돈 많은 후보들은 모두가 하나 같이 ‘유급수당 사회 환원 공약’을 외면하는 데도 불구하고 도리어 재력이 풍부하지 않은 후보들이 그러한 공약을 내 놓아 더욱 감동적이었다.
3
그 공약 덕분인지 5.31선거에서 유급수당의 사회 환원을 내걸고 출마한 후보 중 일부가 당선 되는 영광을 안았다.
그 때 우리는 본란을 통해 그들에게 당선을 축하해 주면서 유권자와의 약속을 틀림없이 이행해 줄 것을 신신 당부하기까지 했었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수당 환원’을 공약한 의원들이 약속을 지키고 있느냐 하는 점이다.
현재 의원 임기 4분의 3을 넘기고 있는 시점에서 아직까지 그 공약을 이행하고 있다는 소식이 없다.
양덕(陽德) 보다 음덕(陰德)을 택해 남몰래 수당을 기부해서 알려지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목돈을 만들어 한꺼번에 사회로 환원시키려 하는 것인지 도무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아니, 이미 공약을 실천하고 있음에도 우리가 그 사실을 놓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도 저도 아니라면 혹시 견물생심(見物生心)으로 유권자와의 굳은 약속을 내 팽개칠 속셈에서 안듯 모른 듯 어물쩍 넘어가려고 작심 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만약 그럴 작정이라면 유권자들은 배신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감동적인 공약을 해서 표를 얻어 놓고 그것을 공약(空約)으로 만들어 허공에 날려버린다면 선거구민을 속이는 일이 된다.
선량(選良)들이 그래서는 안 된다. ‘수당 환원’을 공약한 의원들은 약속을 지켜주기를 다시 당부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선거 때 낙선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