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엊그제 ‘신공항 건설 관련 정책토론회’에 서다. ‘사단법인 한국항공정책연구소’의 허종 소장은 제주신공항 개항시기를 2015년 전후로 잡는 게 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유는 이렇다. “기존의 수요 예측대로라면 제주공항의 포화 시기는 2024년 이후다.
하지만 제주국제자유도시가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공항 수요는 예측치보다 70% 이상 빠르게 증가 한다”는 얘기다.
따라서 “공항이 포화상태에 이르는 시기도 4년 이상 앞당겨져 당초 예측했던 2024년이 아니라 2020년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제주 신공항 개항은 현 공항이 완전 포화 상태가 이루어지기 5년 전, 즉 2015년까지는 개항 할 수 있어야한다”는 게 허종 소장의 지론이다.
제주신공항 개항이 현 공항 완전 포화 시기인 2020년까지 넘어간다면 그에 따른 손실이 매우 클 것이란 진단이다.
공항 혼잡으로 인해 항공사-여객-화물 등에 발생하는 지체(遲滯)비용은 물론, 발 묶인 관광객들로 인한 관광수입 손실이 엄청날 것이라는 그의 분석은 모르긴 하지만 빗나가지 않을 것으로 우리는 믿고 싶다.
2
아울러 우리는 허종 소장의 주장대로 제주 신공항이 2015년까지 꼭 개항될 수 있기를 바란다.
도의회와 ‘신공항 건설추진 협, 제주도 등 관계 기관-단체에서도 차제에 허 소장의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강력한 대정부(對政府) 교섭에 나서 줬으면 한다.
뿐만 아니라 허 소장이 이끌고 있는 항공정책연구소에서도 제주 신공항의 시급성을 정부에 일깨워 주기 희망한다.
하기야 정부가 제주공항 사정을 모르는 바 아니다.
신공항 건설 필요성은 어찌 보면 정부쪽에서가 더 절실히 느끼고 있을 줄 안다.
다른 지방들에서는 공항 1일 이용객 수가 공항 직원 수보다 적은 공항도 만들어 주었다.
개항한지 얼마 되지 않아 폐쇄해버리는 그런 공항도 건설해 주었다. 조성 중 중단해버린, 세금만 날린 공항도 있다.
공항으로서는 불용지물(不用之物)이 되어 항공기 정비창(整備廠)으로 용도변경 하는 공항 아닌 별난 공항도 정부는 허용해 주었다.
이런 잘못을 저지른 정부들인데 제주 제2공항의 화급 성을 모른다면 그건 정부가 아니다.
지금도 경상도에는 필요성이 불확실한 대규모 공항을 만들려 하는 정부가 제주 제2공항의 시급성을 외면한다면 그 원인은 제주를 왕조시대처럼 서자(庶子) 취급하는 태도에 있다.
3
이번 토론회에서 허종 소장은 이런 말도 했다. “제주신공항 건설은 보다 빠른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촉진시키고 국제자유도시에 걸 맞는 공항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주도가 건설의 주체가 돼야한다”는 의견이다. 오죽 답답했으면 그런 말을 했을까.
아마도 허 소장의 이런 견해는 제주도가 주체가 되어 민관합자(民官合資)로 제주공항 관리권을 인수, 관리를 잘하게 되면 흑자 수익금으로 신공항을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자치단체와 참여 민간 업체의 초기 대규모 투자를 전제로 깐 얘기일 법하다.
그러나 우리는 이 의견에는 생각을 달리한다. 신공항 건설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정부이어야 한다는 점 때문이다.
다만 신공항 건설을 현재의 제주국제공항 관리권과 연계시키지 말고 신공항만을 따로 떼어 순수 민자(民資)를 유치한다면 그것은 별개의 문제다.
민관 합자로 기존 제주공항 관리권을 인수받아 신공항을 건설하자는 것은 차선책(次善策)일 수는 있어도 최선책(最善策)일 수는 없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예산 규모나 재정자립도가 서울시 정도만 되어도 문제는 다르다.
제주도는 아직 민관 합자로 공항 건설에 손댈 위치에 있지 않다.
역시 제주 신공항의 건설 주체는 정부이어야 하고 그게 최선책이다.
도 주체 신공항 건설은, 하다하다 안될 때 마지못해 검토해 볼 여러 차선책 중의 하나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