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운동 확산 안돼 지자체서 거액예산 지원
남북화해 무드 조성, 인도주의 차원에서 1998년부터 전개되는 '북한 감귤 보내기 운동'이 당초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도민의 호응 유도와 함께 추진주체를 도 전체 차원으로 끌어 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 사업이 시작된 지 7년째를 맞는 가운데 사업 초기 도민의 긍정적 합의와 '북한 돕기'라는 명분이 빛을 바래며 해마다 되풀이되는 통과성 행사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초기 '남북협력기금'사용에서 지자체 성금 및 '준조세 성격'을 띠는 공무원을 중심으로 하는 비자발적 협찬으로 이어지다 어느새 각 지자체들은 이를 예산에 반영해야 하는 '반강제적'인 모습으로 탈바꿈했다.
지자체 성금이나 공무원들의 협찬, 도민 성금 등으로 이뤄지던 감귤 북한 보내기 소요 자금이 지방비로 책정되기 시작한 것은 2002년.
사업시작 동기가 '과잉 생산된 물량을 북한으로 보내자'인 만큼 이 후 적정물량이 생산된 연도에는 도민들 사이에 크게 부각되기 힘든데다 몇 년째 이어지는 불경기로 성금마련이 쉽지 않은 탓이다.
이 달 5일 도내 각 지자체 부시장, 부군수 등은 (사)북한동포돕기제주도민운동본부 주최로 올해 사업추진에 대한 회의를 열고 물량 및 지자체별 예산 등을 따져 보기로 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와 관련 운동본부측은 "올해산에 대한 가격 등을 예측할 수 없어 회의를 뒤로 미뤘다"면서 "오는 12월초를 전후로 올해 북한 감귤 보내기 운동이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