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만의 애도(哀悼)속에 떠났다. 파란만장했던 63년의 영욕을 태운 한 줌 재가 되어 ‘하늘 여행’을 홀로 떠났다.
견딜 수 없는 치욕과 처절한 좌절감을 이기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던졌지만, 그는 죽어도 죽은 것이 아니었다.
죽어서도 국민의 가슴속에 뜨거운 불씨로 되살아 난 것이다. 서거 후 7일 동안 보여준 국민적 애도와 조문행렬을 보면 그렇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이렇게 이승과 하직했다. 어제(29일) 엄수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그러기에 많은 생각을 갖게 했다.
생전에 그가 보여준 소탈함과 솔직함, 권위주의 벽을 무너뜨린 그의 개혁의지가 얼마나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이 새겨졌는가를 느끼게 하기 충분한 영결식이었다.
노전대통령의 빈소에 몰려들었던 수백만 추모행렬이나 영결식에서 보여준 국민적 관심과 애도는 바로 국민의 마음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준 것이나 다름없다.
바로 이명박 정부에 보내는 경고라 할 수도 있다. 현 정부에 대한 불만과 속 터지는 비판과 저항 심리가 끝 모르는 추모행렬로 이어졌다고 보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기간에 나타난 민의(民意)를 정권담당자가 어떻게 걸러내고 추스르느냐에 따라 민심의 향배가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기에 먼저 정부여당이 정신을 차리고 나라를 온전하게 바른길로 이끌어가야 한다.
물론 정치의 한 축의 야당도 마찬가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정략적으로 이용하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지금 나라 안팎의 사정은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렵고 심각하다. 세계적 경제위기에다 북한의 핵개발과 미사일 발사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 국정의 한 두 축으로서의 여당과 야당이 전직 대통령의 죽음을 정략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은 고인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유족과 국민에 대한 도리일 수도 없다.
모두가 경건한 마음으로 고인의 명복을 빌어주고 유족들을 위로하며 고인의 유지를 되새기는 조용한 추모가 되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