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모 등 곳곳에 분향소ㆍ추모제…조문 행렬 이어져
무리한 검찰수사 비판도...도, "축제 연기ㆍ간소화, 공직기강 확립"
무리한 검찰수사 비판도...도, "축제 연기ㆍ간소화, 공직기강 확립"

특히, 특별자치도 출범, 세계평화의 섬 선포, 4.3 공식 사과 등 제주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던 대통령으로 기억하고 있는 도민들로서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이틀째인 24일 도내에서도 곳곳에 분향소가 차려져 조문객의 행렬이 이어졌다.
이날 오후 제주노사모가 제주시청 어울림마당에 설치한 분향소에는 시민과 학생들이 찾아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이날 저녁엔 노 전 대통령을 기리는 추모문화제를 가졌다.
노사모 일부 회원들은 봉하마을 빈소를 직접 찾아 조문할 계획이었으나 부산행 항공 좌석을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기도 했다.
회사원 이진선씨(29)는 "얼마나 힘드셨으면 대통령까지 하신 분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셨겠냐. 그 심정을 생각하면 너무 가슴 아프다"며 "꿋꿋하게 헤쳐나가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며 슬픔을 감추지 못했다.
분향소가 차려진 민주당 제주도당사엔 김태환 지사와 실.국장단, 강택상 제주시장과 국장단, 우근민 전 제주지사 등이 조문해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했다.
김태환 지사는 애도문을 통해 "누구보다도 제주를 사랑했고, 제주도민의 아픔을 쓸어안았던 대통령"이라며 "제주의 앞날에도 이루 말할 수 없는 손실"이라며 고인을 애도했다.
민주당 김재윤 의원은 서귀포시 동홍동 지역사무소에 임시 분향소를 설치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는 25일 오전 10시 제주시 신산공원 4.3해원 방사탑에서 기자회견을 연 뒤 분향소를 설치해 유족들의 조문을 받기로 했다.
유족회는 "노 전 대통령이 '과거 국가 권력의 잘못에 대해 4.3유족과 제주도민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4.3사건에 대해 공식 사과했었다"고 상기하며 안타까워 했다.
애도의 뜻과 함께 검찰의 무리한 수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았다.
주부 오성자씨(54.여)는 "검찰이 전직 대통령에게 너무 심할 정도로 굴욕을 줬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책임에서 현 정권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며 "주변 사람, 특히 가족들에게 피해를 주기 싫어서 혼자 다 떠 안고 가신 것 같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제주도와 행정시는 24일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장례기간 중에 예정된 축제 등의 행사와 프로그램을 가급적 연기하거나 간소화하고 공직기강 확립에 철저를 기할 것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