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前) 대통령이 지난 23일 아침, 사저(私邸) 뒤편의 봉화산 부엉이 바위에서 투신, 서거(逝去) 했다는 소식은 너무도 뜻밖이었다.
이 갑작스러운 노무현 전(前) 대통령의 서거(逝去)로 전국은 아직도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아무리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박연차 게이트와 관련,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처지라지만 이렇게 죽음을 택할 줄은 국민 그 누구도 상상조차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를 표한다.
노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서거를 두고 여러 가지 원인 해석들이 나오고 있다.
“전직 대통령으로서 검찰 수사에 엄청난 압박을 받았을 것이다.
거기에다 형이 수감 되고, 아내-아들-딸 등 온 가족이 수사 대상이 됨으로써 고통은 더 컸을 것이다.
더구나 청렴과 도덕성을 강점으로 민권 변호사에서 대통령직에까지 올랐던 전직 대통령으로서 포괄적 뇌물 수수혐의로 수사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인내에 한계를 느꼈을 수도 있다”는 분석들이다.
사실 노 전 대통령의 극단적 선택의 직접 원인이 이들 여러 해석들 중 하나일 수도 있고, 모두가 해당될 수도 있다.
어느 쪽이 직접 원인이 되었든 분명한 것은 이들 모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직접 혹은 간접적인 원인으로 누적 돼 일국(一國)의 전직 대통령을 산중 투신(山中 投身)이라는 불행으로 몰아갔을 것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국민들 사이에서는 사실 여부에 관계없이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 책임론의 중심에는 검찰과 현 정권이 서 있다.
검찰의 과잉 수사, 현 정권의 정치 보복이 전직 대통령을 그렇게 몰고 갔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한 진실 밝히기는 당장은 어려우므로 아마도 역사의 몫이 될지도 모른다. 언제인가 밝혀져야 할 중대사다.
어쨌거나 노무현 전 대통령은 한 재벌과의 비리 혐의로 자신을 포함한 가족 모두가 수사를 받는 불명예를 안고 삶을 청산 했다.
그 책임 소재가 검찰의 과잉 수사에 있든, 현 정권의 정치 보복에 있든, 수사 결과 나타난 혐의들은 바람직한 것들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기억에 남을, 기억해야할 대통령임에는 틀림없다.
그는 서울의 과다 비대로 전국 농촌이 황폐화 해 가는 것을 보고 서울 시민이 반대할 것을 알면서도 대한민국의 수도이전을 과감하게 추진했다.
그러나 헌법 불일치에 걸려 좌절됐다.
수많은 전국 지방민들이 이에 의아해하는 것은 수도 이전이 서울 사람들의 힘에 밀린 것 아니냐는 것이다.
앞으로 반세기가 되기 전에 서울 사람들 입에서 조차 노무현 대통령 때 수도를 이전했어야 옳았다는 자성의 소리가 나올지도 모른다.
노 전 대통령은 수도 이전 길이 막히자 그 대안으로 수도 이전 후보지에 행정 복합도시를 추진했다.
그랬던 것이 이번에는 이명박 정부 들어서면서 여러 가지 토를 달고 있다.
지역 균형개발에 대한 의지도 남달랐다.
그래서 추진 한 것이 전국 지방의 ‘혁신도시’건설이다.
수도권의 공기업들을 각 지방의 혁신도시에 배치함으로써 인구-취업-경제 문제들을 해결해서 농촌의 황폐화를 막겠다는 야심찬 사업이다.
이마저도 이명박 정부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마디로 이명박 정부는 노무현 대통령이 추진해 오던 훌륭한 사업들을 뒤집거나 변경하고 있다.
전국이 골고루 잘살 수 있는 길은 이명박 정권처럼 한반도 운하 건설, 재벌위주 정책, 수도권 집중 육성 등의 정치가 아니다.
전국토를 고루 내다보고, 전 국민을 고루 생각하면서 황폐화해 가는 농촌을 일구고 저 소득층도 잘 살 수 있도록 하는 정치다.
그런 뜻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혹시 미운 점이 있더라도 생각나는 정치가로 남을 것이다.
우리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재벌들에게도 반성을 촉구한다.
물욕이라는 인간의 생래적 약점을 노려 돈으로 정치인과 고위 공직자들을 유혹하지 말기 바란다.
그동안 법의 심판을 받은 재벌들 중에는 정치인들이나 공직자들의 요구에 의해 뇌물을 제공한 예도 있지만 사업 목적을 위한 유혹용 뇌물이 더 많다.
뇌물은 받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
앞으로는 박연차 게이트와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