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주대학교 병원 이전으로 상권이 붕괴된 제주시 삼도2동 구 제주대학병원 인근의 심각한 공동화 현상에 대한 도 당국과 도의회의 대응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이미 4년 전부터 지역상권 붕괴와 공동화 현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고 지역주민들이 대책마련을 요구했었는데도 가만히 앉아 있다가 문제가 커지자 뒤늦게 부산을 떨고 있기 때문이다.
삼도2동 도심의 공동화 우려는 아라동으로의 제주대병원 이설 계획이 나올 때부터 심각하게 거론됐던 문제였다.
병원이 옮겨 갈 경우 이에 의존하며 생계를 꾸리던 3백여 상권이 붕괴되고 이로 인해 도심 공동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미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주민들의 한결같은 요구였다.
이러한 우려와 공식적인 주민들의 요구가 계속됐는데도 그동안 도 당국은 지금까지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가 지난 3월 제주대병원이 아라동으로 이전돼 문제가 현실화 되자 “제주대학교 도심캠퍼스를 유치하겠다“고 책임도 못질 말을 하며 소위 관련 태스크 포스를 출범하는 시늉을 했다.
2
제주대학교 도심 캠퍼스 유치는 도가 하잔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제주대학교와 교육과학기술부와의 협의와 합의가 있어야 하고 이들은 또 나름대로의 타당성 검토 등 자체 스크린 작업이 있어야 꿔 볼 수 있는 꿈이다.
그런데도 도는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제주대 도심캠퍼스 이전 TF’를 출범 시켰다. 그렇지만 TF 출범 2개월을 넘기고 있지만 아무런 대책이나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도대체 TF가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궁금할 뿐이다.
뒤늦은 설레발은 도 당국만이 아니다.
지역민의를 헤아려 도정에 반영하겠다며 도민의 심부름꾼임을 자임하는 도의원들 행태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이들의 무책임과 늑장 여론수렴은 더욱 큰 질책을 받아야 할 것이다.
지난 4년 동안은 무엇을 하다가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자 도의회 행자위 의원들이 14일 뒤늦게 삼도2동을 찾았기 때문이다.
“상권붕괴로 고통을 받고 있는 영세중소상인들과 지역주민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방문”이라고 했다.
제주대 병원 이설에 따른 문제 제기는 2000년 초 제주대병원 이설 계획 때부터 나온 것이다.
그런데도 그동안 뒷짐 지고 먼 산만 바라보다가 문제가 커지자 뒤늦게 도와 도의회가 경쟁하듯 호들갑을 떨고 있는 것이다.
3
도와 도의회는 이제라도 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다.
관련 현안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여 이를 책임지고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위해서는 우선 건설적인 대안을 갖고 제주대학과 교과부와 접촉하는 것이 먼저다.
그래서 그들을 설득하여 성과를 끌어내기 위해 도와 도의회가 하나로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
구 제주대 병원을 아라동 제주대병원 분원 형태의 제2제주대병원으로 운영하는 방안, 응급진료센터나 소아과 등 도심지역 수요를 위한 일부 진료과목 운영방안, 제주대학의 특정대학이나 특정 학과 일부를 운영하는 이른바 도심 캠퍼스 유치 방안 등 기존 건물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어떤 방안을 선택하든 지역공동화 현상을 타개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을 위해 도나 도의회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