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금융기관의 여·수신이 모두 증가세로 전환됐다.
수신은 금리인하의 영향으로 예금은행 수신 감소세가 지속됐으나 비은행금융기관 수신이 상대적으로 고금리인 신용협동기구의 수신 증가세가 지속된 데다 분기말 우체국예금이 큰 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 예금은행 여신은 공공부문 대출이 크게 늘어나 증가세로 전환됐으나 비은행금융기관 여신은 영농자금 상환 등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14일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발표한 ‘3월중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3월말 현재 수신액은 13조3184억원으로 월 중 1631억원 증가했다.
예금은행은 저축성예금과 시장성수신의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전월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1463억원 → -686억원)됐다.
저축성예금은 수신금리 인하, 법인세 납부 등으로 정기예금 및 저축예금 중심으로 감소세가 지속(-1303억원 → -740억원)됐고 시장성 수신은 금리하락 등으로 감소세(-618억원 → -482억원)가 이어졌다.
비은행금융기관 수신은 우체국예금 및 신용협동기구 수신이 늘어나면서 큰 폭으로 증가(+1345억원 → +2316억원)했다.
이와 함께 여신액은 10조3660억원으로 월중 276억원 증가했다.
예금은행은 공공부문 대출이 늘어나면서 전 월(+167억원)에 이어 증가세(+841억원)가 지속됐다.
차입주체별로는 가계대출이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96억원에서 24억원으로 증가했고 공공부문 대출은 215억원에서 825억원으로 큰 폭 늘었다.
반면 비은행금융기관은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 등을 중심으로 전월에 이어 감소(-236억원 → -565억원)했다.
상호처축은행은 일부은행의 사후관리대상 여신의 이관 등으로 큰 폭 감소(+26억원 → -422억원)했으며 상호금융은 영농자금 상환 등으로 전월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187억원 → -178억원)됐다.
하지만 신용협동조합은 일반자금대출을 중심으로 늘면서 증가로 전환(-42억원 → +36억원)됐다.
이와 함께 예금은행 연체율은 1.41%로 전월말 보다 0.54%P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