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교육학원 정상화 ‘첩첩산중’
동원교육학원 정상화 ‘첩첩산중’
  • 한경훈
  • 승인 2009.0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이사체제 전환 지연 속 '부실 사립대' 퇴출 문제 불거져
신하 대학 학생 충원률 낮아 교과부 구조조정 대상 전망
동원교육학원(제주산업정보대․탐라대) 임시이사회와 전 재단 측의 횡령교비 보전 문제에 대한 의견차로 학원 정상화가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 ‘부실 사립대’ 퇴출 문제까지 불거져 학교 구성원들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독자 생존이 불가능한 ‘부실 사립대’ 퇴출 작업에 착수했다. 7일 변호사와 공인회계사, 사학 관계자 등 14명으로 구성된 대학선진화위원회를 출범, 부실 사립대의 구조조정 작업을 본격화했다.

합병과 폐교 등 구조조정 대상은 최근 신입생 충원률 저조 등 독자 생존이 어려운 지방 사립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입생 충원률을 기준으로 하면 도내에선 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학이 그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탐라대의 경우 올해 모집정원 266명 중 140여명이 입학해 충원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55%대에 그치는 실정이다.

교과부는 부실 사립대에 대해 재정 지원을 줄이는 방식 등을 통해 통폐합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럴 경우 제주에선 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학의 통합 쪽으로 가닥이 잡힐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김동권 전 이사장의 산업정보대 교비자금 불법사용으로 촉발된 동원학원 사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양 대학의 무리한 통합은 자칫 대학 구성원 간 큰 마찰을 빚을 수 있다.

현 임시이사회는 김 전 이사장이 횡령한 교비에 대한 개인 보전이 이뤄져야 양 대학 통합을 통한 대학 정상화를 모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일부에서는 “김 전 이사장의 교비 보전이 이미 완료됐다”며 김 전 이사장 복귀와 양 대학 통합을 전제로 한 학원 정상화를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산업정보대 한 관계자는 “교과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최근 동원학원 임시이사회가 제출한 ‘정상화 추진계획’을 상정하고 심의에 들어갔다”고 소개한 뒤 “원칙과 정의에 입각해 정이사 체제로 전환하고 이후 양 대학 통합으로 발전 방향을 모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