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50% "정부 지원책 체감 못해"
中企 50% "정부 지원책 체감 못해"
  • 진기철 기자
  • 승인 2009.04.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기 제주본부 조사결과, 2곳 중 1곳 전반적인 경영상황 악화 인식
금융 대출 및 보증불가ㆍ할인 및 덤핑판매 애로…지자체 대응노력도 부족

제주지역 내 중소기업 상당수가 최근 경제상황을 위기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의 지원대책 및 대응노력에 대한 체감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본부장 윤봉호)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31일까지 도내 24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현장방문 및 위기대응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도내 중소기업 2곳 중 1곳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 지난해 3월 대비 전반적인 경영상황에 대해 응답업체의 54.2%가 어렵다고 응답했으며 일반기업(45.4%)보다는 혁신형기업(61.6%)이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원활하다고 응답한 업체는 16.7%에 불과했다.

가장 큰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금융권의 대출 및 보증불가(60.0%)와 할인 및 덤핑판매(60.0%)를 꼽았으며 이어 재고과잉(30.0%), 인력과잉(20.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처럼 경영상황이 어려워진 데에는 10개사 중 5개사가 내수침체를 우선적으로 꼽았으며 지역경제침체(30.8%), 소비심리위축(23.1%), 제품가격경쟁력 약화(23.1%), 자금조달 곤란(23.1%)등이 뒤를 이었다.

또 현재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에 대해 중소기업 10개사 중 6개사가 위기국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 기업들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주요 대응방안으로 신시장 개척(64.3%)과 신기술개발(35.7%)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대책에 대해서는 50.0%가 현장에서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해 정부 지원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조사업체들은 정부 지원책을 전혀 체감하지 못하거나(4.2%) 체감하지 못한다(45.8%)고 답했고 체감한다는 응답은 20.8%에 그쳤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위기 극복노력에 대해서는 16.7%만이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58.3%는 ‘보통’ ,25.0%는 ‘대체로 그렇지 않다 ’고 답했다.

이들 기업들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지자체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분야로 경영안정 자금지원확대(80.0%)를 우선 꼽았다. 또 공공구매 규모확대(25.0%), 기술인력공급을 위한 인프라구축(20.0%) 등도 제시했다.

이와 함께 현재의 경영상황이 지속된다면 버틸 수 있는 기간에 대한 질문에서는 50.0%가 ‘12개월 이내’로 응답했고 33.3%는 ‘6개월 이내’로 답했다.

한편 도내 중소기업들은 이번 조사에서 제주를 대표할 수 있는 캐릭터와 애니메이션 등 문화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해 자치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또 지역 내 대형공사 발주물량을 외지 업체에게 내주는 일이 빈발해 도내 중소기업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주문했다.

이 외에  재활용 폐자원 수집 소기업인 경우 경영난 완화를 위해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율 조정 ▲폐자원 수집차량에 대한 자동차 검사요건 완화 ▲부당한 산재보험료 가산세 철회 ▲직원에 대한 4대보험지원 등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윤봉호 제주지역본부장은 “지역 기업들의 경영애로에 대해 관련 부처와 지자체에 건의해 조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