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울리는 고리사채 집중 단속
서민 울리는 고리사채 집중 단속
  • 임성준
  • 승인 2009.04.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찰, 불법추심 등…올해 580% '살인금리' 등 13명 입건
처벌 약해 피해 끊이지 않아…성인 41명 중 1명 사금융 이용

제도권 금융기관 대출을 받지 못한 저신용층이 대부업체 등과 같은 사금융으로 내몰리면서 고리사채로 인한 피해가 계속 늘고 있다.

제주지방경찰청은 이 처럼 서민을 괴롭히는 고리사채와 불법 채권 추심행위에 대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 한 부녀를 죽음으로 내 몬 고리사채 문제를 해결하라는 지시에 따른 것으로 강도 높은 단속을 예고하고 있다.

경찰은 본청과 일선 경찰서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유흥가와 상가밀집지역 등에서 첩보 수집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 동안 고리사채에 대한 단속이 수시로 이뤄졌지만 피해는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 지난 3월 제주시 연동 일대 상가와 유흥업소 여종업원 등 41명을 상대로 최고 225%의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준 무등록 대부업자가 검거됐다.

이에 앞서 지난 2월엔 526.4%란 '살인 금리'를 챙긴 대부업자가 입건됐다.

지난 1월엔 최고 연 580%까지 높은 이자를 챙겨오던 불법 사채업자가 경찰에 검거됐다.

올 들어 3월까지 무등록 대부행위 7명, 이자율 제한규정을 위반한 6명 등 13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이 도내 대부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 96개 대부업소(제주시 88개 업소, 서귀포시 8개 업소)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1만125명에게 모두 310억원을 빌려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세 이상 도민(41만6724명) 인구를 기준으로 할 때 41명 중 1명꼴로 대부업소로부터 평균 300만원을 빌려 쓴 셈이다. 도민들도 사금융으로 내 몰리고 있어 서민금융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고리사채 피해가 계속되는 것은 일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수 없어 사채의 문을 두드리는 신용등급 7∼10등급인 저신용자 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불법사채업자들이 형사 입건되더라도 대부분 약식기소돼 벌금형을 받고 풀려나 영업을 하면서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복을 두려워해 제대로 신고도 못하는 피해자들도 많은 만큼 보복 위협 등을 한 업자들은 특히 엄벌에 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찰은 "무등록 금전대부 행위, 연 49%를 초과한 이자를 받는 행위, 폭행.협박.체포.감금 등의 불법채권 추심행위, 속칭 '카드깡'을 통한 편법 대부행위가 중점 단속 대상"이라며 "서민경제 침해사범 소탕 60일 계획과 병행해 유관기관과 공조를 통해 강력한 단속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