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지하수는 제주의 생명수”라는데 부인할 도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도민들이 사용하는 음용수 등 생활용수는 물론 농업ㆍ공업 용수 등을 거의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제주지하수는 경제적 재화이기도 하다. 중동국가의 석유자원 못지않게 제주경제에 부를 안겨줄 지하자원이다.
‘제주지하수가 제주 생명수’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다. 그만큼 지하수를 아끼고 보호하고 보전해야 한다는 의미도 있다.
그런데 이처럼 재화 적 가치가 높고 생명수나 다름없는 제주지하수에 대한 정책당국의 접근은 한 쪽으로만 편향되고 있다. 보존과 개발의 균형감각을 잃고 개발에만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유한한 자원에 대한 인식부족과 눈앞의 이익만을 계산에 넣고 있다고 보아진다.
그렇지 않아도 제주지하수 자원에 대한 전문가 그룹의 시각은 무진장 뽑아 쓰는데 우려를 보내고 있다, 지하수 형성과정이나 지하수 함양층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이뤄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먼 훗날 지하수 고갈로 인한 제주사막화 현상의 우려도 나온다. 제주지하수 정책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이유다.
현재의 지하수 정책은 지하수 난개발 정책이나 다름없다. 부서별로 각개 약진 식 지하수 개발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도의 지하수 관련 부서는 4곳이다. 그러니 제주지하수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컨트롤 타워’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환경자원연구원은 대규모 수자원 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경제국은 용암해수 단지 조성, 경영기획실은 먹는 샘물 개발관리, 상수도 본부는 중산간 지역 대규모 지하수공 개발을 통한 상수도 공급 등 부서마다 제각각이다.
그래서 이들 부서별 물 분야 사업을 하나로 묶어 제주지하수 정책을 총괄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인력이나 예산낭비
방지와 효율적 물 관리를 위해 경청해야 할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