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 달 가까이 집행부를 구성하지 못해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제주상공회의소 정상화가 가시권에 들어왔다.
제주상공회의소 비상운영위원회가 이 달 중에 의원 및 회장선거를 실시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다.
제주상의가 제주경제계를 대표하는 조직으로서 그 영향력과 역할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장기간 표류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 때문이다.
제주상공회의소 비상운영위원회는 그래서 지금까지 파행의 원인이 되어왔던 “의원 선거를 위한 회원선거권 문제는 상급단체인 대한상공회의소 정관해석과 법원의 판단을 참고하여 선거를 조속히 치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비상운영위원회의 방침은 그동안 유력후보 간 입장차를 조율하고 합의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실패로 끝나자 내린 판단이다.
더 이상 제주상의 임원공백 상태가 계속된다면 이는 가뜩이나 어렵고 힘든 제주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상공인들의 분열과 갈등만을 키워 도민 통합에도 걸림돌로 작용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에서다.
그간 나타난 상공회의소 선거 파행으로 인한 도내 상공인들의 반목을 생각하면 충분히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2
제주상공회의소 파행의 원인은 일단 당시 집행부의 비상식과 독선적 조직 운영에 있다는 비판이 많았다.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욕심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이다.
상공회의소 선거권 문제는 관례대로 정관에 의해 실시하면 될 일이었다.
상급 단체인 대한상의 정관 해석도 있었다.
또 이와 관련한 법원의 조정 판결도 있었다.
여기에다 제주상공회의소 지도 감독기관인 도의 유권해석도 명백했었다.
이 뿐만이 아니었다.
전국 지역상공회의소에서 실시하는 관례만 참고해도 될 일이었다.
그런데도 임기말 당시 집행부는 이 같은 관련해석이나 법원 판결내용, 또는 지도감독기관의 판단자료까지 모두 배척해 버린 것이다.
파행의 근본적 원인은 이처럼 당시 집행부의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막무가내 식 행태 때문이라는 것이 비판론자들의 대체적 의견이었다.
상공회의소 정관과 법원의 조정판결, 지도감독기관과 상급단체의 정관해석까지도 무시하면서 어떻게 공적영역인 지역경제계를 대표하려 했는지 이해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제주상공회의소 선거관련 파행은 그래서 '전국적 비웃음거리'라는 말들도 많았다.
3
회장임기가 끝나도 사태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자 200여명의 제주상공회의소 일반 회원들이 당시회장에 대한 집단성토까지 벌이는 사태까지 나왔다.
이들은 직전회장의 진실왜곡 사례와 회장직 연장을 노리는 선동과 술수, 부도덕 양태를 성명서 형식으로 조목조목 고발하며 제주상공회의소 변화와 개혁을 위해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제주상공회의소 선거 파행은 이처럼 조직 구성원간의 갈등과 분열양상만 부른 것이다.
제주상공회의소 비상 운영위원회 구성도 이와 무관치가 않다.
그래서 비상운영위원회는 “특정 개인의 입신이나 영달보다는 전체 상공인들이 힘을 합쳐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해 달라”는 뜻에서 대한상공회의소 정관해석, 법원의 판결 등을 근거로 선거를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같은 비상운영위원회의 정상화 방침에 동의를 보내는 쪽이다.
그것이 상식과 순리에 의한 문제 풀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제주상공회의소가 하루 빨리 정상화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누구든 ‘상공회의소 파행에 대한 책임’은 면책될 수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