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지역경제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31일 제주도내 주요경제 단체장과 학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제주지역 경제 동향 간담회’에서도 여러 의견이 나왔다.
그러나 이날 제시된 경제 관련 대안이나 방안은 지역에서 모두 소화할 수 없는 정부차원의 정책 지원과 맞물린 것이어서 실현성 여부는 미지수일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지방정부의 확고한 정책의지와 실천이 뒷받침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가령 제주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한 대형 토목.건설 공사에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높이고 의무 공동 도급제를 도입한다면 침체 속인 도내 건설업이 어느 정도 기지개를 켤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현재 15%수준인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최소 30%정도는 끌어 올릴 수 있도록 도의 추진력이 요구되는 사안이다.
이외에도 효율적인 재정조기 집행을 위한 ‘재정사업 자율평가제 도입’,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주사랑 상품권 판매 확대 방안’ 등도 지방정부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이날 경제동향 간담회에서는 ‘제주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항공기 증편이나 새공항 건설 문제 등 교통 인프라 확충문제도 심각하게 거론됐다.
제주접근성이 용이해야 관광객을 많이 끌어 들일 수 있다는 당연한 소리다.
제주관광의 침체 요인은 항공료 부담 등에 의한 비싼 관광요금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다 항공편 좌석난까지 겹치기 일쑤다.
그래서 항공편 증편이나 새공항 건설 등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제주와 전남간의 해저터널 건설문제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도 제주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대안이어서다.
그런데 이런 교통인프라 문제는 정부의 정책의지에 달려 있는 것이다.
제주국제자유도시와 제주특별자치도의 성공여부가 정부의 정책에 연동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를 위한 제주도의 정책추진 능력과 도민적 역량 결집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