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금리 등 시중금리가 떨어지면 즉각 예금금리에 반영하는 은행들이 몇 년째 연체금리는 그대로 받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특히 시중은행의 평균 예대마진율이 전년말 3.36%에서 올 상반기 3.61%로 높아지는 등 수익성이 좋아진 점에 비춰 연체금리를 내려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의 연체금리가 지난 2000년 이후 변동이 없는 가운데 최저 14%에서 최고 21%를 적용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기존에 19%로 일괄 적용하던 연체금리를 2002년 1월부터 고객의 신용상태, 연체기간, 시장의 금리수준 등에 따라 차등적용하고 있다. 3개월에서 6개월까지의 각 기간에 따라 연체금리를 적용, 최고 14%에서 최고 21%의 금리를 적용한다.
제주은행도 ‘대출금리+σ’ 형식으로 연체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연체기간이 1개월 이내일 경우 대출금리+9%, 2~3개월 이내일 경우 대출금리+10%, 3개월을 넘어설 경우 대출금리+11%의 연체금리를 적용한다. 다만 어떤 경우에도 최저 16%~최고 21%의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게 하고 있다.
농협 역시 대출금리에다 기간에 따라 6%~9%의 연체 가산금리를 붙이는 식으로 최저 15%~최고 19%의 연체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은행들의 연체금리는 IMF 전후인 98~99년 당시 25%에 육박했었다. 당시보다는 연체금리가 떨어진 상황이지만 이후 자금조달금리나 대출금리가 크게 떨어진 것에 비하면 아직도 연체금리가 높다는 목소리가 높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에 대해 “대부분의 연체금리는 고객의 신용도와 연체기간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며 “돈을 떼일 위험 등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드는 비용 등을 감안할 때 연체금리 인하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