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감귤 생산량은 매해 되풀이 되는 ‘희비의 변곡점(變曲點)’이다.
생산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한다. 이른바 ‘해걸이’ 현상 때문이다.
올해도 이 같은 해걸이 현상 때문에 난리다.
농정당국이나 농민들은 감귤 감산 운동에 전력을 투구하고 있다.
예의 그 ‘해걸이 현상’으로 올해 산 감귤이 유례드믄 대 풍작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감귤 풍년에는 울고’, ‘감귤 흉년에는 웃는’ 이처럼 기이한 현상은 매해 되풀이되는 연례행사나 다름없다.
그래서 이에서 벗어나는 방안으로 감귤 수출 확대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대형 수출해외시장을 개척해서 남아도는 감귤을 슬기롭게 처리하자는 것이다.
여기서 나온 것이 극동 러시아 수출시장 개척이다.
지난 2007년 기준 러시아의 감귤류(감귤ㆍ오렌지ㆍ자몽ㆍ레몬 등) 수입량은 미화 기준 8억3200만 달러규모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들 감귤류 대부분이 모로코나 터키, 아르헨티나에서 들어가는 것이다. 제주 산 감귤은 전체의 0.12% 수준이다.
이에 따라 한국 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제주감귤의 러시아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그 교두보로 극동 러시아를 겨냥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내놨다.
다양한 포장 기술을 개발하고 현지 저장시설 확충과 중국산과의 차별화 전략을 쓴다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진단이었다.
내수시장에만 의존하는 ‘울고 웃는 감귤 판매 전략’을 해외시장 개척으로 숨통을 트자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와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