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스로 정리되던 ‘4.3의 역사적 평가’를 원점으로 되돌리려는가.
또다시 ‘4.3’의 갈등과 분열을 획책하여 ‘평화의 섬 제주’를 증오의 섬으로 만들려고 하는가.
최근 일부 보수 단체와 여권 일각에서 ‘4.3’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를 시도하면서 나오는 걱정의 소리다.
‘4.3’ 당시 진압작전에 참여했던 예비역 장성 등이 ‘4.3 특별법’에 의해 인정한 희생자 중 일부에 대해 ‘헌법 소원’을 제기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나오는 도민사회의 우려다.
이와 관련한 헌법 소원은 이미 지난 2000년도에 예비역 장성모임에서 ‘위헌 심판 청구’를 제기했다가 각하된바 있다.
그런데도 이처럼 이미 내려진 결정을 다시 뒤집으려는 시도를 하는 것이다.
이는 역사 평가의 후퇴며 ‘제주 4.3 문제’로 60 여 년 동안 회한 속에 가슴앓이 하며 살아왔던 제주도민들을 또 다시 갈등과 분열 속으로 밀어 넣겠다는 반역사적 시도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4.3 특별법’에 의한 명예회복 작업을 일거에 무너뜨리려는 폭거나 다름없다.
그렇지 않아도 ‘4.3특별법’ 제정이후 끈질긴 작업을 통해 4.3희생자 1만3000여명을 확인 했고 ‘국가 공권력에 의한 비극적 사건’으로 성격 규명도 내려진 상태다.
그래서 이를 화해와 상생으로 승화시켜 제주도를 평화의 섬으로 다듬는 작업까지 마쳤다.
비록 모두가 수긍하는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닐지라도 이 같은 작업을 통해 ‘4.3과 관련한 도민사회의 갈등과 분열’은 상당부분 봉합되고 있는 것이다.
4.3으로 상처받고 멍든 가슴도 가까스로 치유되고 있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이미 내린 결정을 뒤집으려고 시도하는 것은 또다시 60년 전 그 피비린내 나는 도민의 비극을 되살리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지금은 상처를 덧나게 할 때가 아니다.
아직도 아물지 않는 상처의 딱지를 걷어낼 때다.
보수든, 진보든, 이제는 더 이상 ‘4.3’을 갖고 장난치거나 유린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