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도로 개선 예산타령에 ‘가물가물’
1100도로 개선 예산타령에 ‘가물가물’
  • 정흥남
  • 승인 2009.0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 필요성 불구 “안전운전이 최선”…사업비 확보 차일피일
대형사고 악순환 이용객들 '식은땀 관광'…제주 이미지 먹칠


▲ 신비의 도로 일대 사고발생 지점
연례적으로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 수많은 관광객 등이 다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1100도로 구조개선 사업이 공무원들의 책상에서만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다.

사업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련예산이 책정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이곳을 이용하는 차량 운전자들과 승객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특히 1100도로는 종전 국도(國道)였으나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지방도로 전환되면서 제주도가 관련 사업에 신규 투자를 기피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1100도로에서는 지난달 1일에만 하더라도 전세버스가 도로 옆 배수로로 넘어지면서 탑승자 39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5월에도 이곳에서 전세버스가 내리막길 브레이크 미작동으로 사고가 발생, 승액 3명이 숨지고 40명이 부상하는 대형 교통사고가 일어났다.

20명이상이 한꺼번에 다치는 대규모 전세버스 및 어린이 수송차량 교통사고가 2005년부터 올해까지 5건이 발생, 5명이 숨지고 251명이 다쳤다.

이로 인해 1100도로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형 교통사고는 늘 전국 뉴스로 등장, 제주 이미지를 먹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 등은 이곳을 운행하는 전세버스 운전기사 등을 상대로 대대적인 안전교육을 벌이는 등 대형사고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 도로를 관리하고 있는 제주도는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운전자들에 대한 긴급 안전교육 등에만 의존한 채 도로구조 개선 등 근본적인 대안마련에는 손을 놓고 있다.

최근 교통안전공단제주시가가 1100로로 대형교통사고 문제점을 분석한 뒤 대안 가운데 하나로 제시한 ‘도로변 긴급 제동시설’ 설치사업의 경우에도 제주도는 1곳을 설치하는데 10억 원내외가 소요되는데다 인근 토지주들의 협조를 낙관할 수 없다는 이유로 난색을 보이고 있다.

결국 대형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대책인 도로구조개선 등을 뒤로 한 채 운전자들의 안전운전 만을 강조하고 있다.

제주도관계자는 이와 관련, “전국적으로 ‘도로변 긴급제동시설’을 갖춘 곳이 거의 없는데다 이 사업을 위해서는 해당지역 토지매입을 전제로 도로법에 따른 도로구역 결정 고시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토지주들의 동의여부도 문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장기적으로 전문용역을 실시, 1100도로에 대한 안전성 검토 등을 담보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