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학원 전 이사장 복귀 움직임 ‘논란’
동원학원 전 이사장 복귀 움직임 ‘논란’
  • 한경훈
  • 승인 2009.0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부 교직원 "횡령교비 보전 완료, 구재단 정이사 과반확보" 주장
산업정보대측 "환수금액 58억뿐, 원칙적인 정상화 추구해야" 반박
김동원 전 이사장의 제주산업정보대 교비자금 불법사용으로 촉발된 동원교육학원 사태가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김 전 이사장이 복귀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동원학원은 김 전 이사장이 탐라대 설립과정에서 제주산업정보대 교비자금 185억여 원을 불법사용한 것이 드러나 2000년 9월부터 임시이사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임시이사체제를 끝내고 동원학원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교과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임시이사 해소방안, 즉 김 전 이사장이 횡령한 교비 보전이 선행돼야 하나 아직까지 이것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학원 산하 대학 구성원 간 갈등 등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동원학원 일부 교직원들이 김 전 이사장 복귀를 염두에 둔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제주산업정보대 김보영 교수와 탐라대직원협의회 김윤세 회장 등은 6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 전 이사장의 교비보전 실질 입금액은 194억원에 이르러 임시이사 선임 사유가 해소됐다”며 “교과부는 임시이사회를 해촉하고 즉시 정이사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그러면서 “정이사 구성문제는 영남대 방식(구(旧)재단 과반수의 정이사 확보)으로 해야 한다”고 못박았다.

이는 사실상 김 전 이사장의 복귀를 언급한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도민 일각에서는 “수백억원의 교비를 횡령해 지역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당사자가 대학 정상화 분위기에 편승해 학교 경영일선에 복귀하려 하고 있다”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제주산업정보대 한 관계자는 “동원학원 정상화의 근간은 김 전 이사장의 횡령교비 보전”이라고 전제한 뒤 “지금까지 환수한 금액은 58억 원뿐이고 나머지는 환수절차에 있다”며 “따라서 보전을 완료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일부 교직원들이 산업정보대와 탐라대 통합을 전제로 학원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김 전 이사장이 횡령금액을 보전했다면 교과부가 임시이사체제를 풀었을 것이고 그러면 통합 논의도 자연스럽게 이뤄졌을 것”이라며 “김 전 이사장의 횡령금액은 학생 수업료 등 도민 혈세로 만들어진 만큼 원칙적이고 정의로운 정상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