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대륙붕서 산유국 꿈 캔다
제주 대륙붕서 산유국 꿈 캔다
  • 정흥남
  • 승인 2009.0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6-2광구’ 시추…2018년까지 6개소 뚫어 석유ㆍ가스 탐사




▲ 1970년이후 제주대륙붕 탐사현황
제주 남서쪽에 위치한 대륙붕(이른바 제주분지)서 산유국 꿈이 재차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다.

1980년대까지 활발하게 이뤄졌던 제주 대륙붕에서 석유와 가스 시추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제주 대륙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제주 남방 해역은 천연가스 등 230여 종의 지하자원이 매장돼 있고 동중국해에는 원유가 최대 1000억 배럴 정도 매장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실제 정부는 최근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제주 남서부 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지역에만 천연가스 및 원유 72억t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이 같은 제주 대륙붕 재 탐사 결과에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해저광물자원개발 심의위원회를 열어 향후 10년간 국내 대륙붕 20곳 시추 등을 골자로 하는 `제1차 해저광물자원개발 기본계획'을 25일 확정, 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전략적 대륙붕 개발이 적극 추진돼 2018년까지 서해, 제주, 울릉분지에서 총 20곳의 추가시추를 통해 1억 배럴 이상의 신규매장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지식경제부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제주 ‘6-2광구’에 1곳의 지하시추공 굴착을 시작으로 2018년까지 제주 대륙붕에 모두 6곳의 시추공을 뚫어 원유와 가스탐사를 벌일 계획이다.

정부는 1970년이후 제주 대륙붕에 모두 14곳의 시추공을 뚫었는데 이 가운데 현재까지 3개 공에서 가스층을 확인했으나 경제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제주 대륙붕은 올해 시추가 이뤄지는 ‘6-2광구’를 비롯해 ‘4광구’ ‘5광구’ ‘JDZ광구’ 등 모두 4개 광구를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이 기간 제주 대륙붕을 포함해 서해와 울릉분지 등에 소재한 국내 12개 광구에서 모두 43곳을 시추했으나 4곳만 상업적 개발로 이어져 국내 최초의 경제성 있는 가스전인 ‘동해-1’을 통해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