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배추 처리비 갹출…"공무원이 봉이냐"
현우범 의원 "지사 지시라고 솔직히 시인해라"
양배추 강매 논란에 이어 양배추 처리를 위한 공무원 인건비 반납도 강제성 논란이 일고 있다. 현우범 의원 "지사 지시라고 솔직히 시인해라"
제주도와 행정시 소속 간부공무원 508명은 양배추를 수확하는 데 필요한 인력비 마련 등 최근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도지사는 연봉의 5%를 반납하고, 4급 이상 고위공무원은 연가보상비 전액을, 5급 상당 공무원 등은 성과상여금의 30%를 각각 내놓기로 했다.
모든 공무원에게 양배추 구매 할당량을 정해 봉급에서 원천 징수한데 이어 성과상여금마저 반납해야 될 처지인 공무원들은 "우리가 봉이냐"며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민주공무원노조제주시지부가 제주시 본청과 읍면동 각 부서에 양배추 등 농산물 강매 중단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한데 이어 성과상여금 반납이 강제 징수라는 주장이 의회에서 제기되고 있다.
18일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가 제주시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현우범 의원은 자율 반납이 아닌, 도지사의 지시 때문에 마지못해 갹출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현 의원은 성과급은 이달 말에야 성과등급이 결정이 되고, 연가보상금은 연말이 돼야 몇 일을 근무했는지 집계가 되는데, 성과급과 연가보상금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율 반납'이란 있을 수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아직 받지도 못한 돈을 돌려달라는 격이라는 것이다.
현 의원은 "도민들에게 솔직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이는 도지사 지시사항이라고 말해야 옳은 것"이라며 "불쌍한 공무원들의 주머니만 턴다"고 비판했다.
현 의원은 양배추 소비촉진 운동과 관련, "행정이 양배추 팔러 다니는 행태는 생산자의 자립을 막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 의원은 "근본적으로 과잉생산되면 일부는 파기를 해야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생산자 스스로 결정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도울 것이 있으면 도와야 지 모든 걸 행정이 떠안아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강택상 시장은 "성과급과 연가보상금 반납은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라며 "사안이 시급하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해 결정한 것"이라고 답변했다.
강 시장은 양배추 소비촉진과 관련, "지난해 태풍이 없어 평년보다 19% 증산됐고, 밭떼기 거래도 없어 소비촉진 운동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