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發 쓰레기 청소에 허리 휜다
남해發 쓰레기 청소에 허리 휜다
  • 임성준
  • 승인 2009.02.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시, 정부ㆍ지자체에 투기 금지 계도 요청
연 400t씩 '줄이기'로 정책 전환…오염원 책임 강화
제주 연안 해양쓰레기 중 남해안 양식장과 선상에서 버려지는 쓰레기가 상당수이지만 정작 이를 치우는데 제주도와 행정시의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17일 제주시에 따르면 연간 해안가에 쌓이는 쓰레기는 3995t으로 이 가운데 어선과 남해안 양식장에서 버려지는 어구와 어망, 스티로폼 등 해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가 1278t으로 32%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68%(2717t)는 집중호우와 태풍 때 하천을 통해 바닷가로 떠밀려오는 생활쓰레기다.

남해안과 해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대부분 겨울철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북부지역 해안가로 떠내려오고 있다.

제주시는 올해 해양오염 방재.정화사업에 지난해보다 91% 증가한 11억9300만원을 투입한다.

또 2억5000만원을 들여 추자도에 폐스티로폼을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감용기를 보급하고, 해안가 쓰레기 수거에 인건비 등 1억4000만원을 투입한다.

'버리는 사람 따로, 치우는 사람 따로' 격으로 매년 해안 쓰레기를 치우는데 막대한 예산과 어촌계 인력 등이 동원되고 있다.

제주시는 이에 따라 해양쓰레기 관리정책을 치우기에서 줄이기로 전환하기로 했다.

3년 동안 해양쓰레기 1200t을 줄인다는 목표로 매년 10%(400t)씩 감축하기 위해 사전 예방과 오염원인 행위자 책임 강화, 해양쓰레기 재활용.자원화를 추진키로 했다.

제주시는 특히, 정부에 제주도 본섬과 추자도 사이 해역을 운항하는 외국 어선과 상선 등에 해양쓰레기 투기 금지를 계도토록 정부에 건의하고, 전남과 경남도 연안 시.군에 남해안 지역 양식장에서 버려지는 폐어망과 폐어구 등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오염원인 행위자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하천과 하구 책임관리제를 시행하고 배수로 및 하천정비공사 때 발생하는 부산물을 차단하는데 주력키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