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자원이 주는 공익적 혜택은 대단하다.
산림청의 발표대로라면 제주지역의 경우 산림자원에 의해 받는 공익적 혜택은 연간 1조2056억원에 달한다.
평가연도가 2005년 기준이지만 도민들은 자신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매해 제주의 산림자원으로부터 1인당 215만원의 혜택을 받고 있는 셈이다.
이는 전국 평균 국민 한 사람이 받는 산림공익 혜택 136만원에 비해 엄청 높은 금액이다.
그만큼 제주의 산림자원이 아직까지는 양호하다는 뜻이나 다름없다.
산림자원의 공익적 혜택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수원함양 기능, 대기정화 기능, 산림휴양 기능, 토사유출 방지 기능, 산림정수 기능, 야생동물 보호 기능, 토사붕괴 방지 기능 등 다양하다.
이처럼 산림자원이 주는 순기능 때문에 도내 시민단체 등이 앞장서 2년 전부터 제주의 잡목수림지역인 ‘곶자왈’ 보호와 ‘곶자왈 한 평 사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산림보호 및 보전 운동에도 불구하고 지난 7년 사이 제주의 숲이 대거 잠식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우도면 면적(6.18㎢)의 5배에 달하는 28.31㎢가 사라져 버렸다는 것이다.
제주도가 최근 집계한 바로는 그렇다.
사라지는 제주의 산림자원은 2000년 이후 민선자치단체장들의 국공유지 매각이 원인이 되고 있다.
제주국제자유도시 출범 후 곶자왈 지역을 중심으로 한 골프장과 콘도미니엄 등 대규모 개발 사업이 주범이다.
바로 도의 무분별한 개발정책이 불러 온 것이다.
제주의 숲을 망가뜨리고 산림이 주는 공익적 혜택을 빼앗아 버리는 이 같은 행태에 도가 징검다리 역할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면서도 도 개발당국은 시민단체의 ‘곶자왈 한평 사기 운동’에 동참하는 시늉을 하고 있다.
도 개발정책의 허구를 드러낸 이중성이라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다. 산림정책에 대한 도 당국의 뼈아픈 반성과 각성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