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M 제주진출=지역상권 공동화, 상생방안 마련도 필요
해를 거듭할수록 악화되는 제주지역 상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고 정책에 즉각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대단지 물류센터 건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중소상인협의회와 제주도의회 미래전략산업연구회가 11일 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서민경제 회생을 위한 경제대토론회’에서 현윤식 중소상인협의회 사무국장은 ‘제주지역 중소상인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작금의 경제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당국의 정책에 ‘NO'라고 할 수 있는 단체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민관 합동의 태스크포스를 구성,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고 즉각적으로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와 함께 그는 단순히 규모만 큰 물류센터가 아닌 재래시장과 골목상권, 상점가 등과 함께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단지 물류센터 건립과 컨테이너 전용부두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는 제주도는 섬이라는 특성상 도민부담 물류비용이 약 20%선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기존의 비효율적인 창고를 활용하거나 상인 및 개인별 냉동·냉장 창고를 단일화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또 “최근 여론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형 슈퍼마켓(SSM)의 도내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SSM의 도내진출이 본격화되면 영세 골목상권뿐만 아니라 지역 유통업체 및 중형업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역상권 위축 및 공동화가 불가피하다”며 이에 대한 대책 및 상생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동아시아유통정보센터 원종문 원장은 “대형마트의 매장면적 증가가 중소유통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영향이 전문점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비해 약 8.5배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대형마트의 품목규제는 상당부분 중소유통에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만으로는 중소유통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며 “재래시장을 포함한 중소유통의 새로운 업태로의 변신이 필요하고 특히 새로운 업태의 진출에 대한 예측과 더불어 신업태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지자체는 대형유통기업의 SSM 출점과 더불어 SSM을 일정규모이상으로 한정, 중소유통업의 상권까지 잠식해 가는 폐해를 방지하고 일정 규모이하의 SSM은 중소유통업이 공동점포 및 뮬류사업으로 운영토록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