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케이블카를 둘러싼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제주도의회 법제도 개선 연구모임의 3차 토론회로 어제 오후 의원회관에서 열린 자연공원케이블카(로프웨이) 설치에 관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김희현 제주도 관광협회 상근 부회장은 “제주에 특별한 시설이 없다면 관광객 천만명이 가능하겠냐”며 제주도가 외자유치를 하려해도 관광객이 현재보다 20~30만명이 줄어든다면 제주에 대한 투자도 철회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부회장은 관광업계가 환경을 파괴하는 주장을 하고 있다는 것은 오해라며 환경이 유지되어야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친환경적인 케이블카 설치를 찬성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김동주 제주 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팀장은 “도지사가 스스로 백지화했던 케이블카를 경제위기 담론을 틈타 재추진 하는 것은 도민 사회를 다시 찬반 갈등으로 밀어 넣은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기존 한라산 탐방로를 폐지해야 케이블카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2000년의 연구용역 결과라며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내놓지 못한 채 카지노 설치와 케이블카를 들고 나오는 것은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오종훈 도의원 등 나머지 참석자들은 환경과 경제적 이익의 정확한 검증을 거칠 것을 주문하는 등 로프웨이에 대한 합의 도출이 상당히 힘들 것을 예고했다.
한편 환경부 자연보전국 김낙빈 자연자원과장은 주제발표에서 현재 전국의 국 도립공원 8곳에 로프웨이가 설치돼 있고 현재 국 도립공원 10곳이 새로 케이블카 설치 요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자연자원과장은 이 같은 요구에 대응하고 기존의 삭도 지침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기위해 지난해 5월부터 자연친화적 로프웨이 협의체가 구성돼있으며 이 협의체에서 그동안의 기술여건 변화 등을 감안해 새로운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제주도에서도 서두르지 말고 충분히 논의를 거쳐 전통 사찰 등 문화자원을 최대한 보전하며 설치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협의체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가치가 높은 습지,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등 법적 보호종 서식지와 산란처는 정류장과 지주의 설치를 금지하고 야생동물 특별보호구역은 선로 설치를 금지하도록 해 환경적인 면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주의 경우 자재운반은 헬기를 활용해 자연경관의 훼손을 최소화하며 공사로 훼손된 부지는 자생종으로 복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라산은 백록담을 비롯한 주봉까지 로프웨이를 설치하지 않고 아래에서 올려다 보게 하는 등 환경과 경관을 고려한 설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