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가 어렵도 혼탁할수록 공직의 역할과 책임은 막중해 진다. 공직이 흔들리면 사회가 덩달아 흔들리고 공직이 불신 받으면 사회계층간 불신의 벽도 그만큼 높고 두터워지기 때문이다.
공직 기강도 마찬가지다. 공직기강이 무너지거나 문란해지면 이것이 알게 모르게 사회기강 해이로 전이되기 일쑤다.
그만큼 공직사회는 사회 일반에 지대한 영향일 주는 공적 조직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봉급을 받고 국민에게 봉사해야 하는 공직은 그래서 다른 어느 곳 보다 높은 책임감과 의무감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공무원들에게 일반에 비해 더 높은 도덕성을 기대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데도 도내 공직사회의 기강이 너무 흐트러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도감사위원회가 지난 설 연휴를 전후에 실시했던 ‘특별공직기강 감찰 활동’결과가 그렇다.
도감사위원회는 설을 앞두고 “설 연휴를 전후해서 공직자 복무실태와 안전관리 및 생활민원 처리 실태 등에 대한 특별감찰을 실시하겠다”고 예고했었다.
그러나 이렇게 예고된 감사위원회의 특별 감찰활동에서 ‘근무지 무단이탈’ 등 33명의 기강해이 공무원이 적발된 것이다. 이는 지난해 설전 후 감찰활동에서 적발됐던 8건에 비해서는 무려 4배나 증가한 인원이다.
특히 사전 예고까지 한 상황에서 근무기강 해이자가 이처럼 많이 적발됐다는 것은 얼마나 많이 공직근무 기강이 해이되었는지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설 연휴라는 특수 상황을 변명으로 내세울지도 모른다. 그러나 특수한 상황이기 때문에 미리 공직기강 특별감찰을 예고했고 특별히 주의를 해서 근무에 임하라는 것이 아니었던가.
만에 하나 당시 근무해이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건이 터졌거나 사태가 발생했다면 어떻게 되었을 것인가. 설 연휴의 특수한 상황이 공무원 근무해이를 정당화 시킬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철밥통‘이니 뭐니 하며 공무원 조직에 대한 일반의 힐난을 받지 않기 위해서도 공직기강에 대한 감시나 감찰활동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