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이 특정단체나 특정 업계의 압력이나 로비에 의해 눈치를 본다면 이는 주민다수를 위한 위민행정(爲民行政)이라 할 수가 없다.
그런 의혹을 받거나 그런 말을 듣는 것 자체가 행정으로서는 크나 큰 수치나 다름없다.
이를 감안하면 도 교통당국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화물차 공영정류장 ‘늑장가동’에 대한 세간의 의문을 명쾌하게 설명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이와 관련한 의혹을 잠재우고 이로 인한 행정 불신을 걷어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제주도 화물차 공영정류장은 국비와 지방비, 민자 등 127억원이 투입된 사업이다.
타시도 화물차량등이 주택가와 주요도로변에 멋대로 밤샘 주차를 하며 야기되는 민원과 부작용을 해소하고 체계적 화물차 관리를 위해 지난 2007년 11월 공사를 시작한 것이다.
지난해 9월 준공 목표였다.
한꺼번에 화물차 200대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3만344㎡의 공영정류장과 주유소, 운수회사 사무실, 목욕탕, 수면실, 물류창고 등 다기능 복합시설로 건설되고 있다.
그런데 건설과정에서 수차례 설계 변경 등으로 인한 준공시기 지연, 건물사용 승인 미비와 차량 진출입 신호기 공사 늑장 등으로 본격가동이 계속 미뤄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제주의 이사철인 신구간 입주도 물 건너갔다.
이에 대해 신설 공영정류장 개장을 못마땅해 하는 일부 관련 업계 등의 압력에 행정이 끌려 다니고 있다는 확인되지 않는 뒷말까지 나오고 있다.
아까운 국비와 지방비까지 투입해 놓고 공사를 마무리 해놓고도 개장시기를 차일피일 미루는 이유가 뭐냐는 이야기들인 것이다.
이런 일에 행정이 불신을 받고 의혹을 받는다면 어느 모로 보나 좋은 일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