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역, 전문경영인 영입
제주교역, 전문경영인 영입
  • 한경훈 기자
  • 승인 2004.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분 74.3%인 농협ㆍ시ㆍ군 등 부실 방조 책임

(주)제주교역이 파산위기에 처해 새 집행부를 구성하는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대표이사 선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주교역은 지난 6일 임시주주총회를 개최, 생산자단체(4명) 및 개인(2명) 등 6명으로 이사진을 구성했으나 대표이사 선임은 뒤로 미뤘다. 이는 회사 자산에 대한 정확한 진단 등 새 대표이사가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제주교역은 이를 위해 외부회계법인에 자산 재평가를 의뢰할 예정이다.

제주교역은 우선 공석인 대표이사에 전문경영인을 영입하는데 주력키로 했다. 제주도가 주도한 하향식 인사전횡이 경영실패를 초래했다는 자체 판단에서다.
그러나 제주교역의 재무상황이 최악인데다 시.군과 생산자단체, 개인 등 주주 구성이 복잡, 아무런 지분 없이 회사를 끌고 가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문경영인 영입이 벽에 부닥칠 가능성도 있다.

전문경영인 영입이 여의치 않을 경우 6명의 이사 중 1명을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게 불가피하다. 이 경우 2명의 개인주주 중 1명이 대표이사로 선임될 가능성이 높다. 생산자단체에서 대표이사를 맡기는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개인주주 중에서는 도의 보유주식 3만주(10%)를 인수, 단일 최대 주주가 된 홍오성 제주킹마트 회장이 대표이사로 유력하다. 나머지 개인주주 문모씨는 지분이 1.6%(5천주)에 불과하고 경영 전문성 측면에서도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홍 회장은 “제주 최초의 종합무역상사인 제주교역의 상징성은 계속 살려가야 한다”고 말해 전문경영인 영입이 어려울 경우 대표이사 직을 맡을 용의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내비쳤다.

한편 자치단체와 생산자단체 등이 제주교역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내 4개 시.군(23.7%) 및 생산자단체(51%)는 제주교역 지분의 74.3%를 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회사 경영에 대해 수수방관, 경영부실을 방조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회사 결손금부분에 대한 구상권 행사 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