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는 올해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사업비 18억 원을 투입해 이중섭거리(70m)와 1호 광장에 LED조명등을 설치하는 ‘빛의 거리’ 조성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 이른바 ‘서귀포 야간경관특화지구 조성 사업’이다.
이에 대한 용역을 마친 서귀포시는 10일 이에 따른 주민설명회를 가졌다.
그런데 설명회에 참여했던 주민들이 사업효과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빛의 거리’ 조성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자 서귀포시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우선 조명등 설치를 통한 ‘빛의 거리’ 조성만으로 야간 관광이 활성화 되겠느냐는 의문이다.
‘빛의 거리’에서 볼거리, 즐길거리, 먹거리 등이 상품이 어우러지지 않는다면 ‘빛의 거리’는 무의미 하다는 지적이다. ‘빛의 거리‘를 야시장 화하라는 주문인 것이다.
그리고 조명등 파손으로 인한 미관훼손과 안전성 문제, 차 없는 거리 조성, 보행자 우선 도로사업 추진 등 각종 문제제기와 의견도 쏟아졌다.
그런데 문제는 서귀포시가 이를 모두 수용하거나 수렴할 여력이 없다는 데 있다.
가뜩이나 계획보다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데다 에너지 절감 대책까지 추진되면서 ‘빛의 거리’ 조성사업을 계속 진행할지 여부 자체에 고민이 생긴 것이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빛의 거리’ 조성사업이 야간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에 활력을 줄 것이라는 확신이 섰다면 지금 와서 주저 하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
더구나 ‘빛의 거리‘는 서귀포시가 시민들에게 큰소리치며 제시했던 사업이 아니던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