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vernment has essentially removed regulations completely in the capital region. They have enabled the free building and expansion of factories within industrial parks in the region, and it is said that they are allowing the creation of high-tech industrial complex in the city of Seoul as well. Not only would this be a complete abandonment of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territory, it is a policy ultimately devastating to the entire national territory through the haphazard development of the capital region.
The biggest concern is the collapse of local economies. Indeed, local economies are already being driven to the brink of death anyway, with provincial industrial parks emptying out by the day. If this policy is implemented unchanged in such a situation, the possibility of local economies ever coming back to life vanishes. It is also clear that businesses that were planning to invest in regional industrial parks will want to return to the capital region as a result of this policy. Even if there were a need for the easing of regulations in the capital region, it should be approached circumspectly after first preparing a plan to develop local economies.
It is also true that the situation in the capital region does not necessarily improve just because regulations there have been eased. Businesses may crowd into industrial parks in the capital region right away because of conveniences such as transportation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human resources. But in the long term, this aggravates centralization in the capital region and gives rise to side effects such as worse traffic congestion and increased labor costs. Ultimately, it will not be a great help to businesses either. Furthermore, if new constructions and expansions are permitted without concern for the type of industry, the people in the capital region could suffer damages from drinking water pollution due to wastewater disposal and an increase in land prices because of indiscriminate development.
The government may insist that although there are such side effects, the policy is inevitably needed to stimulate corporate investment. There are indeed some businesses crying out about how they cannot invest because of regulations in the capital region. But the current investment inactivity is due more to the inability to find a business model that can create profitability within a global economic slump rather than to the regulations in the capital region. If a large-scale easing of these regulations is realized in such a situation,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only a small minority of businesses able to secure land in the region will enjoy the benefi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factories they are able to own, while investment does not increase greatly for the nation as a whole.
The use of national territory must be conducted cautiously, with an eye toward the distant future, because once it is ruined, it is difficult to bring it back. In the long view, this policy also holds the possibility of bringing down both the capital region and the provinces. The people did not give President Lee Myung-bak the right in his five-year term to forever devastate this nation’s land for the sake of boosting immediate domestic demand. The “national territory efficiency plan” must be completely reexamined.
'국토 이용 효율화’가 아니라 ‘국토 황폐화’ 정책이다
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사실상 완전히 풀었다. 수도권 산업단지 안에 자유롭게 공장을 신증설할 수 있고, 서울시에도 첨단산업단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이는 국토 균형발전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일 뿐 아니라 수도권을 마구잡이로 개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국토 전체를 황폐화시키는 정책이다.
가장 걱정되는 게 지역 경제 몰락이다. 그러잖아도 지역에 있는 산업단지가 텅텅 비어가는 등 지역 경제는 빈사 상태에 몰려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정책이 그대로 시행될 경우, 지역 경제는 회생할 가능성이 사라진다. 이번 정책으로 지역 공단에 투자하려던 기업들도 다시 수도권으로 돌아가려 할 게 뻔하다. 설사 수도권 규제 완화 필요성이 있더라도 우선 지역 경제를 발전시킬 방안을 마련한 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수도권 규제를 완화한다고 수도권이 반드시 좋아지는 것도 아니다. 당장은 교통이나 인력 수급 등의 편리함 때문에 수도권 공단에 기업들이 몰릴 수는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이는 수도권 집중을 심화시켜 교통 정체 심화, 인건비 상승 등의 부작용을 불러온다. 결과적으로 기업들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더구나 업종에 관계없이 공장 신증설을 허용할 경우, 오·폐수로 인한 먹는 물 오염, 막개발로 인한 땅값 상승 등 수도권 주민의 삶이 피폐해질 수 있다.
정부는 이런 부작용이 있는데도, 기업투자 활성화를 위해 불가피한 정책이라고 강변할지 모르겠다. 일부 기업들이 수도권 규제 때문에 투자를 못하겠다고 아우성치고 있긴 한다. 하지만 지금의 투자 부진은 수도권 규제보다는 세계 경기 침체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찾지 못한 탓이 더 크다. 이런 마당에 수도권 규제를 대폭 완화할 경우, 수도권에 땅을 확보할 수 있는 소수의 몇몇 기업만 공장을 늘리는 혜택을 보고 국가 전체로는 투자가 크게 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국토 이용은 먼 앞날을 보고 신중하게 해야 한다. 한번 망가진 국토는 되살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정책은 길게 보면 수도권과 지방을 동시에 몰락시킬 가능성도 안고 있다. 국민은 5년 임기의 이명박 정부에 눈앞의 내수 부양을 위해 국토를 영원히 황폐화시킬 권한을 주지 않았다. ‘국토 이용 효율화 방안’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
[한겨레사설 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