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ha당 50만5000원 계획…희망농가 신청 접수
과잉 생산으로 폭락하고 있는 배추 값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안이 추진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수확기에 접어 든 김장배추의 가격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10t에 이르는 김장배추를 사들여 유통을 막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격리 조치되는 물량은 10만t(1000ha). 농협과 농가간 계약재배 물량과 계약을 하지 않은 농가를 대상으로 신청량을 접수 받는다.
지원단가는 10a당 50만5000원으로 대상물량은 배추밭 현장에서 시장 출하를 하지 못하도록 격리된다.
이는 올해 김장배추 재배면적이 지난해의 높은 가격 영향으로 21%(평년 대비 14%) 늘어났고 생육기간 작황도 양호해 생산량이 무려 26%정도 증가(평년 대비 16%)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전국 김장배추 재배면적은 1만4693ha로 지난해 1만2178ha 대비 2515ha 증가했다. 제주지역은 지난해 247ha보다 46ha 증가(19%)한 293ha가 재배되고 있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김장배추와 무의 소비촉진을 위해 ‘1가정 김치 1포기 더 담기’ 운동을 전개한다.
또 지자체, 농협 및 배추·무 전국협의회를 통해 주산지와 아파트 단지·김치업체 등 대량구매처와 직거래·판매처를 알선하는 한편 대도시를 중심으로 조기 임시 김장시장을 개설하여 김치 담그기 붐을 조성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배추 소비촉진과 함께 중국산 농산물 멜라민 파동 등 식품안전에 대한 대외적 여건을 활용해 김치 수출을 적극 추진하고 배추김치 원산지 표시 시행(12월22일)을 앞두고 식품업체에서 국산 배추를 많이 사용해 김치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