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확대를 위한 은행권의 예금금리 인상에 발맞춰 대출금리도 지속적으로 상승, 서민가계의 이자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은행권의 원화 유동성 위축으로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와 은행채 등의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1주일간 국민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대출 금리는 6.92~8.42%로 전주보다 0.08%포인트 올랐다. 지난 2004년 금리체계 변경 이후 최고 수준이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주택대출 변동금리도 주초 6.96~8.26%와 7.06~8.36%를 기록, 1주일 전에 비해 0.08%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로 1억 원을 빌렸다면 연이자 약 8만 원이 일주일 새 늘어난 셈이다.
하나은행은 7.28~8.58%로 0.08%포인트 올랐으며 기업은행은 7.11~8.41%로 최저금리가 0.06%포인트 올랐다.
우리은행의 3년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주초 8.89~9.99%로 전주에 비해 0.12%포인트 상승하는 등 장기 고정금리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은행의 고정금리는 8.69~9.39%로 0.26%포인트 급등했다.
씨티은행 신용대출 금리는 이달 들어 두 차례 인상됐다. 씨티은행은 지난 2일 2년제 직장인신용대출 금리를 0.70%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20일에는 0.10%포인트 추가 인상한 11.80%로 조정했다.
CD금리는 지난 10일 이후 11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지난 주말 6.18%를 기록했다. 지난달 25일 이후 한달간 상승폭은 0.39%포인트에 달한다.
한편 은행들이 예금을 끌어들여 원화유동성 비율을 맞추기 위해 예금 금리를 7%대로 경쟁적으로 높이면서 6개 주요은행은 지난 23일 기준 시중자금 11조1615억원을 빨아들였다. 안전성 면에서 관심을 받는 우체국금융과 농협을 합치면 13조4416억원의 시중자금이 은행예금으로 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