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여름철 도내 일부 해안가와 해수욕장에 밀려와 주변경관을 해치고 악취를 발생시키고 있는 구멍갈파래와 가시파래가 염증억제 효과에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과 협약을 맺고 구멍갈파래와 가시파래에 대한 자원화 방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이들 파래는 염증인자인 프레스타글라딘, 나이트릭 옥사이드, 인터루킨, 티엔에프 알파 등에 대한 억제작용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각질세포를 통한 세포독성 실험에서도 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여드름과 아토피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연구 성과는 지구온난화와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 그리고 해양환경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외래침입 생물 종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과학적 프로토콜을 완성한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내년 여름에도 약 1000여t 이상의 가시파래와 구멍갈파래가 제주해안으로 밀려올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화장품 소재 등의 산업화 자원으로 활용하는 등 또 다른 소득원 개발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도와 하이테크산업진흥원은 지난 5월부터 파래의 생태학적 특성조사와 미생물처리 및 화장품 소재개발, 다량급속 건조처리 및 기능성 사료첨가제 개발, 파래활용 바이오에너지소재 개발 등의 특화 연구를 벌이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