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산 노지감귤의 본격출하가 되기 전부터 덜 익은 과일을 강제 착색시켜 유통시키는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가 적발되고 있다. 벌써 적발건수만 4건이다.
이처럼 상품성이 취약한 불량 감귤 유통은 올해 제주감귤 전체의 적정 가격형성과 원활한 처리에 치명상을 주는 것이어서 농정당국이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그렇지 않아도 올해 산 감귤은 해걸이 현상으로 그 어느 때 보다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적정 처리 규모인 50만톤에서 60만톤 안팎이라는 것이다.
이런 전망 때문에 올해 산 제주감귤에 대한 유통조절 명령제는 발령되지 않을 것이 확실하다.
이는 바로 올해 산 제주감귤의 극심한 유통혼란을 예고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유통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아 불량귤 유통을 차단하는 일이 쉽지 않고 이것이 소비시장에 혼란을 불러 가격 폭락 등 감귤처리에 악재로 작용 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생산량이 줄어든다는 자체만으로도 높은 가격을 기대하여 상품 질에 관계없이 저질품이든 뭐든 아무것이라도 유통시키려는 유혹은 그만큼 큰 것이다.
따라서 저질 감귤이 유통시장을 혼란시킬 경우 제주감귤의 제값 받기와 원활한 유통처리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도 당국이 가용 가능한 인력을 총 동원하여 비상품 감귤 유통을 차단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의 성공 여부는 농민의 손에 달려 있다. 고품질로 높은 가격을 원한다면 농민스스로 불량품을 버려야 한다. 올해 산 감귤이 살길은 이 뿐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