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지원금 비리' 공무원 구속
'문화재 지원금 비리' 공무원 구속
  • 김광호
  • 승인 2008.0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검, 되돌려 받은 2000만원 '뇌물수수' 혐의
"범행부인, 증거인멸ㆍ사건 무마 시도 우려" 밝혀
지법, "제보자 진술 신빙성 높다" 영장 발부
무형문화재 지원금(보조금) 비리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제주지검은 11일 오후 제주도청 사무관 김 모씨(45)를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했다.

김 씨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제주도 문화재 지원 업무를 당당할 당시 무형문화재 ‘허벅장’ 기능 보유자 측에 “지원금이 더 지급되고 있다”며 “수 차례에 걸쳐 지원된 돈 중에서 2000만원 정도를 되찾아 간 혐의를 받고 있다.

제주지법 영장담당 이상훈 판사는 “이 사건 제보자의 진술이 신빙성이 높다”며 영장을 발부했다.

이 판사는 “범죄 사실에 대한 소명이 있고, (제보자 등에 대한) 접촉 시도 등 증거 인멸의 우려가 높다”고 판단했다.

구속된 김 씨는 검찰 수사에서 뇌물수수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따라서 검찰은 물증 등 직접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보자 강 모씨의 진술과 김 씨가 강 씨에게 보낸 휴대폰 문자 메시지 내용 등을 토대로 구속 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이 사건을 진정.폭로한 강 씨의 구체적인 진술과 피의자 김 씨의 진술 회피 등에서 나타난 정황증거와 간접증거를 범죄 혐의의 근거로 제시했다.

특히 검찰은 피의자 김 씨가 “한 번 살려 달라”. “문제가 안 생기게 해 달라”는 내용으로 강 씨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를 유력한 간접 증거로 판단했다.
결국 법원도 김 씨에 대한 구속 필요 사유를 사실상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하지만 김 씨가 끝까지 뇌물수수 혐의를 부인하고, 혐의를 명백히 입증할 직접 증거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검찰의 공소 유지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사건 공무원들의 공모 여부와 제주도 문화재 지원사업 전반에 대한 검찰의 수사 확대 의지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

이에 대해 검찰은 보강 수사 과정 등에서 김 씨가 심경에 변화를 일으켜 결국 혐의를 시인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또, 김 씨가 자백을 하지 않더라도 제보자 진술의 신빙성과 김 씨의 휴대폰 문자 메시지 내용 등 정황증거와 간접증거 만으로도 혐의 입증에 자신이 있다는 입장이다.

많은 도민들도 공무원 뇌물수수 의혹과 관련한 이 사건의 진실이 과연 무엇인지, 특히 검찰의 증거 입증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