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당 제안…공항노조는 민노총ㆍ민노당 등과 민영화 반대 결의대회
정부의 공항 민영화 대상에 흑자공항인 제주공항이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각계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 노조 제주지부(지부장 부문희)는 1일 오후 제주국제공항 화물청사 직원주차장에서 조합원과 민주노총제주본부, 민주노동당제주도당, 진보신당제주추진위원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항 매각 저지 결의대회'를 가졌다.
노조는 "국민의 재산인 공항을 재벌 등에게 넘겨주려는 정부의 민영화계획에 반대한다"며 "공항이 민영화되면 수익에만 초점을 둔 운영으로 공항 이용료가 대폭 인상되는 반면 시설투자는 줄어들어 공공성이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항공기가 절대적인 교통수단인 제주공항의 경우는 그 폐해가 실로 엄청난 것임에도 국민에게 그 비용부담이 고스란히 전가되는 공항 매각을 선진화라고 포장하고 국민을 호도하며 '먹튀' 자본을 위한 정책을 진행시키고 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노조는 "공항은 국민의 안전과 공공성 등이 보장돼야 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개인이 운영을 해서는 안되는 것"이라며 "노동운동단체와 공동 투쟁으로 우리의 주장을 관철시키고,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끝까지 총력 투쟁으로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정시 출.퇴근, 노조 조끼 입고 근무, 민영화 반대 리본 달기 등의 준법투쟁에 나서고 지역 시민단체와 연대를 모색하는 등 반발 수위를 점차 높여갈 예정이다.
자유선진당 제주도당은 성명을 통해 "제주공항이 면영화되면 공항이용료 인상, 관광비용 상승 등으로 관광객 유치에 타격을 입게된다"며 각 정당과 경제단체,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가칭 '제주공항 민영화저지 범도민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민주노동당 제주도당도 이날 성명을 내고 "정부는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고 육지와 떨어져있는 제주에서부터 공공기관 사유화를 진행해 대한민국을 완전한 시장경쟁, 약육강식의 사회로 만들어 일부 재벌과 외국투기자본만 배불리려 하고 있다"며 "공공부문 사유화 정책은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