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가 인하 기대 못해…대형학교 중심 그룹편성 필요
학교급식품 공동구매제와 관련, 예산절감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대규모 학교를 중심으로 소규모 학교를 묶는 형태로 사업을 추진해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학교급식품 공동구매제는 단위 학교별로 학교급식품을 구매 계약하던 것을 4~6개교가 공동으로 업무를 추진하는 제도.
제주도교육청은 계약의 투명성과 구매단가 인하 등을 위해 지난해 읍면지역 4개그룹 19개교에 이어 올해 한라초ㆍ중학교를 대상으로 공동구매제를 시범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학생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한라초ㆍ중학교의 경우 종전에 비해 저렴한 단가로 질 높은 식재료를 구입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읍면지역 소규모 학교로 편성된 그룹은 식품업체들의 납품기피 현상은 크게 줄었으나 예산절감의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학교별 급식 식재료 구매가 소량이고, 거리도 떨어져 있어 업체들이 유통비용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읍면지역 학교에서 이 제도가 효과가 나타내려면 규모가 큰 학교를 중심으로 인근 소규모 학교를 묶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대도시지역 학교는 급식품 공동구매에 별반 어려움이 없으나 농어촌 소규모 학교는 그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이번 2학기까지 지역 실정에 맞는 운영 시스템을 도출, 제도를 확대ㆍ시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