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개발硏 "관광객 1100만명 유치 효과"
정부 설득ㆍ사회적 부작용 난제
내국인 관광객 전용카지노 도입에 따른 타당성과 경제효과가 구체적으로 제시된 가운데 도민사회에 본격적인 공론화와 함께 향후 정부의 입장 변화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 설득ㆍ사회적 부작용 난제
제주도관광협회가 한국관광개발연구원에 의뢰해 진행하고 있는 '제주지역 관광객 전용카지노 도입에 대한 타당성 조사연구' 최종 결과는 9월 중 공청회와 설문조사를 거쳐 나올 예정이다.
한국관광개발연구원은 앞서 중간보고서를 통해 기존 관광시설을 활용해 중.소규모의 카지노로 개장하면 2015년 약 900만명의 관광객이 제주를 방문하고 복합리조트형 대규모 카지노를 개장할 경우에는 약 1100만명이 제주를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복합리조트형 대규모 카지노를 개장하면 2010년 기준으로 생산유발효과 2조4000억원, 고용유발효과 1만300명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소 규모의 카지노를 개장하는 경우에도 생산유발효과가 7611억원에 이르고 3315명의 고용유발효과가 기대됐다.
이 처럼 관광객 전용카지노 도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제시된 반면 카지노산업 확대로 도박 중독자 양산과 재산탕진, 범죄 증가, 지역주민 피해증가 등의 사회적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보고서는 사회적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카지노 수익 일부를 도박중독 및 재활치료에 쓰도록 하고, 방문 횟수와 베팅금액을 제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도박중독자 양산과 재산 탕진을 막는 대책을 제시했다.
제주도관광협회는 이 처럼 중간용역 결과 관광객 전용카지노 도입에 따른 관광산업 효과가 큰 것으로 제시됨에 따라 최종보고서가 나오는대로 정부와 제주도에 도입 의견을 개진한다는 계획이다.
김태환 제주지사는 지난 4월 제주도의회 임시회에서 "10월까지는 도민의견 수렴과 공청회를 거쳐 관광객전용 카지노 추진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혀, 빠르면 10월 초에는 제주도가 관광객전용 카지노 추진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자체간 카지노 유치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사회적 합의 등을 이유로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다 사회적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민단체의 반발로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