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이 최대 53만t으로 예측되고 있다.
지난 해 생산량 67만8000t에 비해 무려 14만여 t이나 크게 줄어든 예상량이다.
지난 해 과잉생산에 의한 해거리가 주요 감산 요인인 것 같다.
사실, 과잉생산이나 해거리 모두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제주도와 생산농가 모두 이를 충분히 잘 알고 있으면서도 아직껏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산 감귤의 적정 생산량은 약 55만t 이라고 한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이 목표가 성공한 해는 없었다.
대부분 ‘한 해 풍작, 이듬 해 흉작’이 챗바퀴처럼 반복돼 왔다.
여태껏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들쭉날쭉 감귤 생산이 올해를 기점으로 내년부터는 정적생산 정착 단계로 들어가야 한다. 더 이상 ‘과잉생산’, ‘해거리 현상’이란 말은 올해로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적정 생산과 함께 중요한 것은 품질이다.
맛이 전제되지 않은 적정 생산 역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올해 감귤 생산량이 줄었다고 해서 품질이 좋아지고, 저절로 잘 팔려 나간다는 보장이 없다.
특히 제주 감귤이 겨울철 과일시장을 주도했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비닐하우스 과일과 각종 수입산 과일이 범람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가고 있다.
출하량이 줄면 자연히 가격도 올라갈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은 절대 금물이다.
누구보다도 생산농가 스스로 맛 좋은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
더욱이 생산량이 줄었으므로 비상품도 돈이 될 수 있다는 집착에 끼워 팔기를 시도한다면 결과는 보나 마나다.
또 다시 제값받기는 물 건너 가고 말 것이다.
비상품 감귤은 과감히 나무에서 따 내고 상품성 감귤만 잘 가꿔야 한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올해 감산 체제의 고품질 생산과 제값받기는 향후 적정 생산과 고소득을 보장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