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s compromising position
MBC’s compromising position
  • 제주타임스
  • 승인 2008.0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Yesterday the MBC program “The Producer’s Notebook” apologized on the air for its mad cow disease report, giving in to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s binding order to do so. Procedures do exist for challenging the order, but the broadcaster chose against that option and has reassigned the producer responsible as internal censure. The management’s decision goes directly against the position of the news media professionals who have resisted the prosecution’s investigation and the commission’s sanctions, seeing them as suppression of the media. It is also a betrayal of the country, which has trusted and supported the program.

MBC’s management seems to think its decision is a compromise that comes after much agonizing over the various issues involved. “The ‘Producer’s Notebook’ program brought up issues in a way that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country’s health and the public interest,” says Eom Ki-yeong, adding, however, that things like “MBC’s future”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overall scheme of things, and you can see the agonizing that management went through in saying it had decided to “rise above the fray and accept” the commission’s order. The administration and the ruling Grand National Party are still determined to restructure Korean broadcasting, a move that would include privatizing MBC. It’s been said that this MBC management decision was not without various forms of serious pressure from the administration. The prosecution’s arrest of KBS President Jung Yun-joo the same day can be seen as a “warning.”

MBC’s management may be expecting to free itself, however little, of those challenges. It has accepted the commission’s sanctions but will appeal the court order to issue a correction and allow a rebuttal and refuse to agree to prosecution questioning. It is taking that route because it wants to give consideration to both the administration and its viewers.

Such hopes, however, look naive.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has already made it clear it wants to seize control of the media and manipulate it according to its wishes. He puts his shallow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role of broadcasting on display when he openly says his approval ratings have suffered because of television broadcasting. Moves like those coming from the administration are not going to stop here. Look at it closely and you see that the prosecution’s investigation and the commission’s sanctions are nothing more than an attempt to tarnish MBC’s reports. If MBC makes people suspicious of the legitimacy of its own reports by giving in, it will become all the more easy for it to give in to political pressure that seeks to manipulate it further.

One worries the decision is going to hurt the freedom to cover and report the news. If MBC’s management gives in to political power with this compromise decision that tries to hold back “outside winds,” is going to make it hard to function properly as a news medium. The management says it is going to keep a closer watch on program production. That must not lead to self-censorship. This decision is most regrettable, and in many ways.

‘타협’한다고 이 정권이 방송장악 멈출까

<문화방송>(MBC)이 ‘피디수첩’ 광우병 보도에 대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시청자 사과 명령을 받아들여 그제 사과 방송을 내보냈다. 불복 절차가 있음에도 이를 포기하고, 제작 책임자에 대해 징계성 인사까지 했다. 경영진의 이런 결정은 피디수첩에 대한 검찰 수사와 방송통신위 제재 등을 언론 탄압으로 보고 저항해 온 일선 언론인들의 생각과는 정면으로 어긋나는 것이다. 믿고 지지해 온 국민에 대한 배신이기도 하다.

문화방송 경영진은 이번 결정을 나름대로 여러 문제를 고심한 끝에 내린 타협으로 여기는 듯하다. 엄기영 사장이 “피디수첩의 문제제기는 결과적으로 국민 건강과 공공의 이익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면서도, ‘문화방송의 미래’ 등을 총체적으로 판단해 제재를 대승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한 것에도 그런 고심이 담겼다는 것이다. 그러지 않아도 정부와 한나라당은 문화방송 민영화 등 방송구조 개편을 포기하지 않고 있는 터다. 이번 일을 놓고서도 정권 차원에서 여러 종류의 심각한 압박이 있었다고 한다. 같은날 정연주 <한국방송> 사장이 검찰에 체포된 것도 일종의 ‘경고’로 볼 수 있겠다.

문화방송 경영진은 이번 결정으로 이런 어려움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방통위 제재는 수용하되 법원의 정정·반론보도 판결에는 항소하고 검찰의 조사 요구에는 불응하기로 한 것도, 정권과 시청자를 다 의식한 결정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기대는 순진해 보인다. 이명박 정부는 이미 방송을 자신의 뜻대로 장악하고 조종하려는 뜻을 분명히했다. 방송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졌다고 공공연히 말할 정도로 언론자유나 방송의 구실에 대해 천박하기 짝이 없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그런 이들이 이쯤에서 멈추진 않을 터이다. 따지자면 검찰 수사나 방통위 제재는 문화방송 보도에 대한 흠집내기라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이에 못이겨 스스로 보도의 정당성을 의심하게 한다면 언론을 좌우하려는 정치적 압박에 더 쉽게 굴복하게 된다.

이번 일로 자유로운 취재와 보도가 위축되지 않을지도 우려된다. 외풍을 막아야 할 경영진이 권력에 굴복한다면 언론이 제구실을 하긴 어렵다. 문화방송은 일선 제작현장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자기 검열로 이어져서는 곤란하다. 여러모로 유감이 아닐 수 없다.

[한겨레사설 8/13]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