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주 4.3 평화재단’ 초대 이사장 선출을 놓고 파행이 계속되고 있다.
발기인들 간 입장과 속셈이 크게 달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4.3 평화 재단’은 ‘4.3’의 아픈 역사를 치유하고 이를 상생의 평화모델로 삼아 제주도민의 화합과 일치를 이루기 위한 재단법인이다.
각종 ‘4.3’관련 사업을 통합 조정하여 집행하는 ‘제주 4.3’ 문제의 종합 조정기능을 맡게 된다.
그만큼 중요한 조직이다.
그러기에 ‘4.3 평화재단’의 기초를 닦게 될 초대 이사장 선출은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을 이들은 없을 것이다.
이런 뜻에서 최근 초대 이사장 선출을 놓고 논란을 벌이고 고민을 하는 것이라면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초대 이사장 선출을 놓고 벌어지는 이전투구(泥田鬪狗) 수준의 논란과 파행이 이러한 순수성에서 벗어난 ‘자리싸움’으로 비쳐지는 데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진지한 논의 보다는 초대이사장 자리나 상임이사 자리를 쟁취하기 위한 싸움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2
‘4.3’은 제주도와 제주도민에게는 한의 역사다. 우리 현대사의 가장 처참한 피의 역사다.
그러기에 지난 60년간 도민들은 이 한과 피의 역사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피멍든 가슴을 삭이지 못하고 울음을 깨물며 살아왔다.
학살된 수 만명의 원혼들은 너무 억울하여 자리를 찾지 못해 아직도 구천을 헤매고 있다.
강요된 침묵속에서 아픈 세월을 여며왔던 ‘4.3’이 가까스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10년이 고작이다.
완강하던 정부가 ‘4.3’ 진상규명을 위한 ‘4.3 특별법’을 제정했고 이에 따라 ‘4.3 희생자와 4.3에 대한 진상규명작업’이 진행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제주 4.3 평화재단’도 이 같은 작업의 바탕위에서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4.3 평화 재단’은 특정그룹이나 특정개인의 전유물이거나 탐욕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특정인의 명예욕을 위해 만들어지거나 자리다툼의 대상도 될 수 없는 일이다.
힘겨루기 쟁탈전의 수단도 아니다.
3
따라서 ‘제주 4.3 평화 재단’은 이 같은 탐욕과 명예욕과 자리다툼의 부정적 색깔에서 자유로워야 한다.
그래서 초대 이사장 자리는 이에 바탕 하여 선출되거나 추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기인 몇몇이 호불호에 따라 흥정되거나 파워게임으로 결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우리가 바라기는 ‘4.3 평화재단’ 초대 이사장은 이름에 걸맞게 상징성 있는 인물로 추대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예산이 연결될 수밖에 없는 자리이기 때문에 대 중앙 절충 능력과 인품과 자질을 겸비한 인사라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이다.
다만 염두에 둔다면 ‘4.3 관련 단체나 조직’의 인사는 여기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그래야 재단 운영의 편향성에서 벗어 날수 있고 ‘4.3’이 특정 그룹의 전유물이라는 인상을 받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추대도 안 되고 선출도 난망이라면 공개모집도 생각 해 볼 일이다.
관주도의 임시 이사장 체제는 바람직하지 않다.
거듭 말하거니와 ‘4.3’을 제 명예욕이나 입지 강화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어떤 시도도 배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