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저신용등급자 비중 높아
도내 저신용등급자 비중 높아
  • 한경훈
  • 승인 2008.0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체 신용등급평가 대상자의 13%…전국 시ㆍ도 중 ‘3위’
금융기관 대출 불가능…사회통합ㆍ성장잠재력에 악영향

도내 금융 저신용등급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 제주본부의 ‘제주지역 금융소외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도내 저신용등급자는 3월 말 현재 3만1000명으로 전체 신용등급 평가 대상자의 13.3%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비중은 전국 16개 시ㆍ도 중 전남(15.5%), 강원(13.6%)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며 전국평균(10.7%)을 웃도는 수치다.

저신용등급자는 개인신용평가회사의 신용등급(10등급) 중 8등급 이하인 사람으로 제도권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금융소외자이다.

지역에 금융소외자가 많을수록 사회통합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성장잠재력에도 부정적 영향이 나타난다.

저신용등급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30~40대가 61%를 차지했다. 신용등급 대상자 중 30ㆍ40대의 비중은 8.5%로 전국평균(6.1%)보다 높았다.

도내 평균 신용등급(5.0) 역시 전국평균(4.7)보다 낮아 전남(5.2), 강원(5.1), 충남(5.0) 등과 함께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상호저축은행 등 서민금융기관은 이용이 가능하나 은행 이용은 제한되는 신용등급이 7인 사람도 3만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체 신용등급 평가 대상자의 12.9% 수준이다.

이와 함께 도내 개인파산제도 이용자 수도 2002년 이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파산신청 증가율(147.7%)은 전국평균(24.5%)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청자 수는 1637명으로 2001~2006년까지 신청자(1021명)을 초과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관계자는 “제주지역의 금융소외자가 다른 지역보다 많다는 것은 경제성장 등을 위한 여건이 그 만큼 취약함을 의미한다”며 “금융소외자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대안금융제도를 도입하고 금융소외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한편 금융기관들도 경제적 자활능력이 있는 금융소외자들에 대해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금융서비스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